국제 기업

도요타, 2020년 전기차 양산 나선다

한번 충전으로 300㎞ 주행 목표

내년 초 기획 조직 주도로 협력체계 구축

지난 3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국제오토쇼에서 공개된 도요타 자동차의 프리우스 프라임 HV./사진=블룸버그통신지난 3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국제오토쇼에서 공개된 도요타 자동차의 프리우스 프라임 HV./사진=블룸버그통신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오는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EV) 양산체제를 갖춘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도요타가 한번 충전으로 300㎞까지 주행할 수 있는 EV 양산을 목표로 리튬이온배터리·엔진·내장재 등 주요 부품회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7일 보도했다.


양산 모델로는 하이브리드자동차(HV) ‘프리우스’나 주력 차종인 ‘카롤라’ 등이 거론된다. 또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프레임의 EV도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관련기사



도요타가 2020년을 EV 양산원년으로 잡은 데는 그해 열리는 도쿄올림픽 특수를 기대하는 동시에 이 시기를 전후해 세계 시장에서 EV 보급이 본격화된다는 분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전체 자동차 판매대수 중 일정 수준 이상을 EV로 해야 한다는 규정을 도입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결정이나 환경오염 등을 막기 위해 EV 제작사에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한 중국 정부의 결정 등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문은 도요타가 지난 1997년 HV 양산차 프리우스를 세계 최초로 내놓은 후 시장 규모가 예상만큼 커지지 않으면서 전 세계 친환경자동차 시장에서 고립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분석했다. 당시 도요타는 프리우스의 특허를 공개하지 않아 경쟁사 진입을 가로막았으며 결과적으로 경쟁사들이 한 단계 넘어선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V)나 EV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현재 EV 시장에는 미국 테슬라, 일본 닛산, 독일 폭스바겐, 중국 BYD 등이 경쟁적으로 뛰어들었으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32만8,000대로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0.4%에 그친 EV 판매량은 2030년 8%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