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청담동 주식부자' 사기거래 불똥…움츠러드는 바이오 VC

"이희진과 무관함 증명하라"

중기청, 일부사에 확인서 요구

거품론에 이어 투자 위축 우려





이른바 ‘청담동 주식부자’로 알려진 이희진의 장외주식 사기사건과 관련해 바이오 벤처캐피털(VC) 업계가 마음을 졸이고 있다. 이희진이 비공개 정보를 활용해 비상장 벤처 업체들의 주식을 파는 과정에서 일부 벤처캐피털들이 가담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벤처캐피털들은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해지 이후 가뜩이나 바이오 거품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이희진 사건의 파장이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까 긴장하고 있다.

7일 바이오 벤처캐피털 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청은 최근 일부 VC들에 ‘이희진 사건과 연관이 없다’는 내용의 일종의 확인서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확인서에는 이희진 측에 비상장 주식을 매도하지 않았다는 내용 등이 담겨 있으며 업체 대표의 자필 서명도 요구하고 있다. 중기청 측은 유전자 치료 전문업체 A사를 비롯해 화장품 제조업체 B사 및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 C사와 벤처캐피털 간의 거래를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VC 업체 관계자는 “중기청에서 며칠 전 국회 제출용이라며 해당 문서를 보내왔다”며 “이희진 측과 짜고 장외 주식을 매도했던 VC들은 당연히 처벌받아야 하지만 정상적으로 주식 거래를 한 VC들로서는 억울한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바이오벤처 쪽 자금 수급 상황은 아직 원활한 모습이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바이오 및 의료벤처 신규투자 금액은 3,432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1년간의 투자액인 3,170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다만 9월 이후 한미약품 기술수출 해지 사건이 발생한 데다 이희진 사건과 관련한 당국의 조사가 시작돼 이 같은 성장세가 지속될지 의문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이번 확인서 발송은 일부 바이오 벤처캐피털들과 관련된 의혹을 털어내고 다시금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작업”이라며 “확인서가 발송된 곳은 공개할 수 없지만 이희진 사건과 관련이 없는 업체에도 관련 내용이 송부됐을 수 있다”고 밝혔다. 중기청은 이미 검찰에 관련 수사를 의뢰한 상태로 업계에서는 최소 서너곳의 바이오 벤처 업체가 검찰 수상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대부분 벤처캐피털 업체에서는 이번 이희진 사건으로 비상장 주식 부정거래와 같은 업계의 환부를 확실히 도려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 임원은 “바이오 산업 관련과 관련해 전문가층이 아직 얇은데다 몇 년 사이에 급성장한 측면이 있어 몇 마리 미꾸라지가 관련 시장을 충분히 흐릴 수 있는 구조”라며 “이번 사건이 시장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