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티베트 승려 린포체 "고통도 무상…들여다보면 틈이 보여"

방한한 티베트 불교 지도자 욘게이 밍규르 린포체./연합뉴스방한한 티베트 불교 지도자 욘게이 밍규르 린포체./연합뉴스


“고통이라는 생각을 계속 들여다보면 틈이 없어 보이던 것도 산산이 부서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달라이 라마 이후 세계에서 주목받는 티베트의 젊은 승려인 욘게이 밍규르 린포체(41)는 지난 7일 오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고통도 결국은 무상하다”면서 어지러운 세상에서 마음속 평안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명상단체 텔가코리아의 초청으로 2011년에 이어 다시 방한한 그는 티베트 불교의 신세대 지도자다.

그는 세 살 때 17세기 대학자이자 명상 수행자인 욘게이 밍규르 도르제의 7대 환생자로 판정됐으며 이어 1975년 사망한 ‘위대한 티베트 스승’ 캉규르 린포체의 환생으로 티베트 불교에서 인정받았다.

그는 지난해까지 4년 반에 걸쳐 히말라야 산을 떠돌며 ‘방랑수행’을 하는 등 자신을 혹독하게 몰아붙인 수행으로 득도의 경지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스로 고통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에 대한 그의 조언은 고통을 직시하라는 것에서 시작된다.

관련기사



그는 고통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무아(無我)’라고 표현하면서 명상을 통해 이런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일상에서의 명상을 강조했다.

그러나 ‘단순한 명상’이 아니라 명상의 방향과 목표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머리로 생각하고 가슴으로 느끼고 이를 습관으로 만들어 실천해야 ‘나를 바꿈으로써 세상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머리나 가슴으로 느꼈다고는 해도 이를 행동으로 실천하기를 어려워하는 사람이 많다며 ‘연습’을 해결책으로 소개했다. 매일 조금씩 행동에 옮기는 것을 실천하다 보면 저절로 체득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다섯 가지씩 감사할 일을 찾아 목록을 만들어보는 방법도 추천했다.

“일단 아침에 일어나면 숨을 쉬고 있다는 사실에 감사해보는 것입니다. 내가 살아 있다는 것을 알아보고 감사하는 거지요. 그다음에는 이렇게 커피를 마신다는 것을, 당신과 내가 함께 있다는 것을 감사하는 순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그는 이런 방법으로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오현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