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朴대통령 "국회 추천 총리 임명"에 여야 대권주자 상반된 반응

문재인 "야당 제안 취지와 다르고 민심과도 동떨어져"

안철수 "국민 요구에 여전히 미흡하다"

이재명 "대통령 퇴진 안하면 탄핵절차 추진할 것"

김무성, 유승민 등 여당은 긍정적 평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 /연합뉴스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 /연합뉴스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 /연합뉴스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 /연합뉴스


유승민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 /연합뉴스유승민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 /연합뉴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 /서울경제DB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 /서울경제DB


여야 대권 주자들은 8일 박근혜 대통령이 김병준 총리지명을 사실상 철회하고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를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이날 박 대통령의 ‘국회 추천 총리의 내각 통할’ 발언에 대해 “일단 저와 야당이 제안했던 거국중립내각의 취지와 다르고 민심과도 많이 동떨어져 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단순히 국회 추천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에게 조각권과 국정전반을 맡기고 대통령은 국정에서 2선으로 물러선다고 하는 것이 저와 야당이 제안한 거국 중립내각의 취지”라며 이같이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이어 “그 점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말씀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문 전 대표는 “국무총리가 각 부를 통할하게 돼 있는 건 헌법에 규정된 바”라며 “그건 이미 현재도 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 역시 “국민들의 요구에 비춰볼 때 여전히 미흡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안 전 대표는 “국정을 주도하겠다는 의사표시다. 표현이 애매하고 분명한 것이 없다”며 “박 대통령의 지금까지 행보를 볼 때 시간벌기용이라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이 원하는 최소한의 요구는 국정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물러나라는 것”이라며 “일부에서 이야기하는, 내치는 총리가, 외교는 대통령이 맡는 방안은 잘못된 것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책임 있는 대표로 인정하지 않는 현실을 모르고 하는 주장이다”라고 깎아내렸다.

관련기사



안 전 대표는 “완전 권한위임 약속 이전에 총리를 선임하는 것은 국민의 뜻을 거스르는 것”이라며 “박 대통령이 총리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할 것을 약속하고, 선임되는 대로 물러나는 것이 대한민국을 위해 마지막 애국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밝힌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근 지지율이 급등한 이재명 성남시장은 “대통령 퇴진을 전제하지 않는 어떠한 수습책도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며, 만약 이를 수용한다면 야권 또한 국정농간의 책임을 공동으로 지게 돼 국민의 공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청와대와 야당 모두에 엄포를 놨다. 야권에서 가장 강경하게 박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는 이 시장은 “국민의 퇴진 요구를 받아들여 대통령이 스스로 퇴진하지 않는다면 야권은 어쩔 수 없이 탄핵절차를 추진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야권 잠룡으로 꼽히는 김부겸 민주당 의원은 “국회와 여야의 추천으로 임명된 총리가 조각권을 갖는다는 추가적 입장 표명을 하라”고 박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성명을 내고 이같이 말하며 “그것이 2선 후퇴의 정확한 의미로, 조각권의 소재가 확실해진 이후 국회와 여야의 총리추천이 진행되는 것이 올바르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당초 이날 점심 무렵만 해도 “만시지탄이지만 대통령의 결단을 인정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추가 성명을 내고 상반된 입장을 표명했다.

반면 여권 잠룡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는 “대통령이 정치권의 의견을 받아들여 사실상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한 것 아니냐”면서 “아주 잘한 일”이라고 말했다.

유승민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 역시 “대통령의 오늘 발언은 일방적 총리 지명의 과오를 인정하고, 사태 수습의 실마리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유 전 원내대표는 “국민적 요구에 미흡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대통령께서 야당의 주장을 일부 수용한 만큼, 총리의 권한행사 범위 등 불명확한 부분에 대해 논의하고, 그동안 정치권이 요구해온 거국내각과 특검 등에 대해 협의하기 위해서라도 이제는 여야 정치권이 사태해결책을 찾아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