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청와대 엿보기] 朴대통령 ‘2선 후퇴’ 못받는 진짜 이유는

'최순실 수사' 檢 통제권 잃을까 우려

퇴임 후 재수사 가능성도 있어

권력유지 상태서 사건종결 의지

개헌 불씨 되살리기 희망도

박근혜 대통령이 야권의 대화 선결조건인 ‘2선 후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청와대 관계자는 9일 국회를 향해 “하루빨리 총리 후보자를 추천해 달라”고 말했지만 총리 추천의 선결 조건으로 야권이 내건 2선 후퇴에 대해서는 여전히 명확히 답하지 않았다.

청와대 사정을 잘 아는 한 여권 관계자는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본인 수사가 걸려 있는 상황에서 내치 포기를 핵심으로 하는 2선 후퇴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 관계자는 “2선 후퇴를 선언하는 순간 검찰을 비롯한 권력 기관의 인사권을 손에서 놓치게 된다”면서 “그러면 자신의 수사를 관리할 수 없는 단계가 되고 이는 퇴임 후까지 이어지는 악몽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은 박 대통령이 권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서면 또는 방문조사를 받아 이번 사건을 마무리 짓고자 한다고 보고 있다. 퇴임 이후 재수사 가능성도 있어 어떻게든 이번에 끝내야 한다는 생각이 절박하다. 검찰 후배들에게 두루 신망을 받는 최재경 민정수석을 기용한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 “내년 2월 검찰 정기인사도 청와대 민정수석의 영향권 아래 있다”면서 “박 대통령이 2선 후퇴를 선언할 경우 최재경 민정수석의 힘도 빠지게 되며 검찰은 현 정권의 통제권을 완전히 벗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개헌의 불씨를 살려 보겠다는 희망을 여전히 갖고 있다고 분석한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귀국해 제3지대에서 세력을 형성하면 이를 기회로 이원집정부제 개헌을 추진해 반 총장을 대통령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동시에 연정을 시도해 의회와 내각에서도 정권재창출과 마찬가지의 세력 구도를 만들고자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시나리오를 추진하려면 박 대통령이 힘을 유지한 채 ‘실세 총리’ 위에서 있어야 한다.

여권 관계자는 “박 대통령에게 2선 후퇴는 최소한의 안전판을 포기하는 것이자 퇴임 후까지 남의 손에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 때문에 야권과 박 대통령의 대치가 장기화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