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원유철 "트럼프 당선으로 한미관계 급변 예고… 북핵·FTA 선제대응 필요"

북 핵위협 대응위해 美로부터 '한국 핵무장론' 동의 이끌어 내야

원유철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연합뉴스원유철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연합뉴스




원유철 새누리당 의원은 9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미 대선에서 (‘아메리카퍼스트’를 주장해 온) 트럼프의 승리가 확실시된다”며 “우리도 ‘코리아퍼스트’의 입장에서 북핵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원 의원은 “미국퍼스트의 신고립주의 전략이 미국민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 같다”며 “한미관계나 동북아정세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 의원은 국내 핵무장론의 전도사를 자처하며 국회의원 연구모임인 ‘북핵 해결을 위한 새누리당 의원 모임(약칭 핵포럼)’을 주도하고 있다. 이 모임은 원 의원과 함께 잠재적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김무성 전 대표와 김정훈 의원이 주도하고 있다.


원 전 원내대표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북한은 핵탄두 소형화·경량화·다종화에 성공했고, 수차례의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핵탄두와 미사일을 결합했다”며 “그러나 우리는 늘 규탄 결의안이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성명 등 ‘구호’로만 대응했다. 북한이 앞서 가는 동안 우리는 제자리에 알몸으로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전술핵을 재배치해 북한과 ‘공포의 균형’을 이루고,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핵무기를 최소한 북한의 2배 이상 규모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그는 “킬체인, KAMD, 사드는 모두 방어 수단이다. 상대방은 총을 겨누는데 우리는 방패만 들어선 안 된다. 서로 총을 들이대고 있어야 방아쇠를 함부로 당기지 못한다”고 말했다. 원 의원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가 수반되는 독자적인 핵무장보다는 한미원자력협정 협상으로 핵무기 개발 능력을 확보해두자는 입장이다. 원 의원은 서울경제와 만나 “트럼프는 미국이 주한미군 등 많은 비용을 대면서 (한국의 안보를) 지켜주고 있으니, 차라리 (한국이) 핵을 가져서 북한 핵을 억제시키라는 입장”이라며 “오히려 이번 기회(트럼프 당선)이 우리가 핵무장을 할 수 있는 여지가 더 커진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원 의원은 “북한의 핵 문제에 가로막혀 남북이 경제나 문화분야 등 모든 분야의 협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비무장지대(DMZ) 개발이나 개마공원 관광자원화,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북한을 통과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중국횡단철도(TCR) 연결 등 우리나라 경제를 위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북핵 하나 때문에 막혀 있지 않느냐”며 “한국이 북한과 대등하게 핵 협상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북한보다) 핵을 더 많이 갖고 있어야 하고, 제 생각에는 핵무기를 100개 정도는 갖고 있어야 협상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