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촛불 들고 거리로 나온 야당, ‘강경투쟁 모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세 야당이 12일 일제히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와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시민들과 함께 시위를 벌였다. 특히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민주당 김부겸 의원, 이재명 성남시장 등 차기 대권 주자들도 광장에 나와 시민들과 촛불을 함께 들었다. 정국의 주도권을 가져오는데 이날 집회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공식적으로는 정권퇴진이나 하야, 탄핵을 주장하지 않고 있지만, 집회장에서는 자연스럽게 정권퇴진과 탄핵 주장이 흘러나왔다. 일부 의원들은 강한 어조와 단어를 사용해 박 대통령을 맹비난했다.


2년 전 교육문화체육관광위에서 최순실씨 딸 정유라의 승마 특혜 의혹을 가장 먼저 제기했던 안민석 의원은 “박근혜를 국민을 혼란에 빠트린 내란죄로 수사해야 한다. 또한 대기업에 특혜주고 ‘삥땅’ 뜯은 포괄적 뇌물죄를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영길 의원도 “박 대통령이 ‘세월호 7시간’ 동안 보톡스를 맞았는지 무슨 굿판을 벌였는지 알 수 없다”며 “박 대통령은 ‘우주의 기운’을 받았는지 점괘를 받았는지 해경 해체를 결정했다. IQ도 좋지 않은 분이 어떻게 혼자 결정했겠나”라고 했다. 김민석 당 대표 특보는 “우리는 오늘 우주의 기를 모아 박근혜정권을 끝장내기 위해 모였다. 국민은 방을 빼라고 하는데 청와대와 대통령은 안 나간다”며 “국회와 국민과 협력하는 것이 싫다면 당장 방빼라”라고 했다.

관련기사



시위장을 찾은 대권주자들도 시민들의 환호를 받으며 함께 구호를 외치는 등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야권이 강경 투쟁 모드를 유지할 경우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정공백 사태가 길어지는 상황에서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