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중총궐기] “새벽 6시에 아이 셋과 서울로…산 교육 시켜주고 싶어요”

12일 대학로 앞은 민중총궐기 집회에 참여한 시민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김나영기자12일 대학로 앞은 민중총궐기 집회에 참여한 시민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김나영기자


12일 오후 1시30분께 예상 집회시간이 30여분 남아있는 상황이었지만 대학로 방송통신대학교 앞은 이미 인파로 넘쳐났다. 어린 아이부터 나이가 지긋한 중장년층까지 성별과 나이를 불문하고 그야말로 ‘한 마음 한 뜻’으로 곳곳에서 모인 시민들이 인도와 한 쪽 차도를 가득 채웠다. 특히 가족 단위로 집회현장에 들른 가족들이 눈에 띄었다. 서울에서 열리는 ‘민중총궐기’에 참여하기 위해 새벽 6시부터 서둘렀다는 이승배씨(44)는 아내와 함께 10살·8살·5살 난 아이 셋을 데리고 현장을 찾았다. 이씨는 지난 4일 부산 서면에서 열렸던 박근혜 대통령 하야집회에 참여했을 때 ‘서울에서 열릴 민중총궐기에 참여할 시민을 모집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내와 상의 끝에 참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집회참가자가 100만명이 될 것이라는 보도를 보고 아이들을 데리고 나오는 것이 염려스럽지는 않았느냐고 묻자 이씨는 “아이들 교육에 오히려 좋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이씨는 아직은 아이들이 어리지만 나중에 시간일 흘렀을 때 ‘온 가족이 역사의 현장에 함께 했다’는 점을 이야기해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12일 민중총궐기 현장에서 ‘박근혜 퇴진’이라고 쓰인 플래카드가 시민에게 배포돼 참가자들은 한 손에는 플래카드를 들고 한 손은 하늘 높이 들며 구호를 함께 외쳤다. /김나영기자12일 민중총궐기 현장에서 ‘박근혜 퇴진’이라고 쓰인 플래카드가 시민에게 배포돼 참가자들은 한 손에는 플래카드를 들고 한 손은 하늘 높이 들며 구호를 함께 외쳤다. /김나영기자


이날 민중총궐기에 모인 시민들을 두고 여러 언론에서 성난 민심을 대변한다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현장에서 바라본 시민들은 오히려 집회를 축제처럼 즐기고 있었다. 오후 2시10여분께 대학로에서 광화문 방향으로 행진이 시작되자 시민들은 결의에 찬 표정으로 나아가면서도 지나가는 시민들과 하이파이브를 하기도 했다. “화이팅입니다”, “오늘 다 같이 잘 해봐요” 같은 격려도 여기저기서 들렸다. 현장에는 10여대의 트럭이 개별 그룹의 선두에 배치되어 있어 참가자가 자유발언을 하기도 하고 흥을 돋우는 노래를 틀며 사회를 보는 장소로 활용됐다. 충남지역에서 상경한 한 시민은 “12일 민중총궐기로 대한민국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변화가 일어날 때까지 계속해서 서울로 올라올 것”이라며 “얼마 후에 사그라들거라 생각하면 그건 정말 오산”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김나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