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우리은행 민영화 금융산업 지형도 바뀐다] 증권사 편입 시급...내년 우리은행發 M&A 가시화

<중> M&A와 영역 확대

경쟁자 국민·신한·하나銀처럼

우리銀 금융지주사 전환은 수순

주가 상승에 완전 민영화도 가능

과점주주 증자·적정 매물찾기 등

공격적 M&A 과제로 떠올라

금융지주 영역확대 격전 예고

1515A09 우리은행민영화1515A09 우리은행민영화


지난 2014년 해체된 우리금융지주가 우리은행에 편입됐을 당시 우리은행과 우리카드 내부는 비상이 걸렸다. 우리은행이 우리금융지주를 흡수합병하면서 금융지주회사법이 아닌 ‘은행법’의 적용을 받게 됨에 따라 우리은행과 우리카드의 고객 정보 공유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금융지주회사법은 경영전략 목적상 계열사 간의 고객 정보 공유를 인정하고 있지만 은행법은 은행과 자회사의 고객 정보 공유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500만 우리카드 고객 정보를 우리은행이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고객들의 동의를 다시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당시 금융위원회가 기존 고객에 한해서만 ‘예외’를 인정해주면서 한 고비를 넘기기는 했지만 우리은행 내부에서는 “팔다리가 다 잘린 은행만으로는 다른 금융지주와의 경쟁에 한계가 분명하다”는 인식이 확고해졌다. 업계 1위 증권사인 우리투자증권을 농협금융에 넘겼을 때도 마찬가지. 우리은행 내부의 상실감은 적지 않았다. 저금리로 금융자산이 점차 금융투자 업계로 이동해가는 상황에서 은행만으로는 금융업의 시너지를 낼 방법이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경쟁자인 신한금융과 같은 회사들은 PWM(은행+증권 영업)을 통해 은행 고객들을 적극적으로 금융투자 업계로 유도하고 있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은 내년 2·4분기께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광구 우리은행장도 이날 “금융지주체계를 재구축해 대한민국 1등 종합금융그룹으로서의 위상을 세우겠다”고 공언했다. 우리은행 내부에서도 당장 은행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증권사부터 인수합병(M&A)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와 더불어 우리은행의 자본비율이 경쟁 은행에 비해 낮은 점도 지주사로 전환해야 하는 요인 중 하나다. 우리은행은 2014년 지주사 해체로 위험가중자산이 높은 계열사를 은행 자회사로 편입시키면서 자본비율이 하락했다. 이를 다시 금융지주 계열사로 분리시키면 은행의 자본비율이 높아져 바젤 3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관련기사



결국 우리은행은 앞으로 ‘새로운 지배구조 확립→금융지주회사 전환→증권 보험사 등 M&A’의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발 M&A’가 내년 금융 시장에서 상당한 격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는 우리은행의 주가 상승과 맞물려 예금보험공사의 잔여 지분을 매각해 완전한 민영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공격적인 M&A를 위해서는 과점주주들의 증자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현재 M&A 시장에 나와 있는 증권·보험사 매물 가운데 우리은행의 눈높이에 맞을 만한 매물이 많지 않다는 점은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투자금융 업계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증권 보험사 매물 가운데 우리은행과 ‘규모의 경제’를 시현할 정도의 매물은 찾기 힘들다. 현대중공업이 보유한 하이투자증권 매각은 7월부터 추진됐지만 시장에서 외면을 받고 있다. 이 밖에 SK증권·골든브릿지증권·이베스트투자증권 등이 향후 매물로 나올 것으로 예측되지만 우리은행의 입장에서 인수 유인이 크지는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 시장의 ‘대어’인 대우증권과 현대증권은 각각 미래에셋과 KB금융에 팔린 상태다. 보험사 매물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나 막대한 자본 확충을 필요로 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이 M&A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생명보험사 등에 대한 섣부른 M&A가 우리은행의 기업 가치를 되레 하락시킬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적당한 M&A 매물이 나온다 해도 우리은행의 자본 여력이 받쳐줄지 미지수다. 윤창현 공적자금위원회 민간 위원장도 민영화 이후 우리은행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증자 필요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KB금융이나 신한금융과 같은 ‘항공모함’을 구축해 계열사 간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증자에 대한 이해관계가 과점주주들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이 변수로 남아 있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금융지주사 전환과 증자는 별개의 문제로 금융지주 전환을 통해 일단 재무지표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당장 M&A 가 이뤄지지 않는다 해도 과점주주들 가운데 유력 증권사와 보험사들이 있는 만큼 일단 주주 회사들과의 긴밀한 협업 체계를 통해 시너지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