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4일 '68년만의 슈퍼문', 흐린 날씨 탓에 관측 힘들 듯

올해 가장 작은 달(4월 22일, 왼쪽)과 가장 큰 달(11월 14일, 오른쪽)의 비교 사진. /한국천문연구원=연합뉴스올해 가장 작은 달(4월 22일, 왼쪽)과 가장 큰 달(11월 14일, 오른쪽)의 비교 사진. /한국천문연구원=연합뉴스


14일 저녁 68년 만의 ‘슈퍼문’(거대 보름달)이 뜰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흐린 날씨 탓에 관측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이날 뜰 것으로 예측된 보름달은 올해 들어 보름달이 가장 작았던 4월 22일에 비해 14%나 크게 뜰 것으로 예측된다.

슈퍼문이 뜨는 것은 이날이 달이 가장 둥글게 보이는 망인 동시에 지구와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달은 공전궤도가 타원형으로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에 차이가 있어 보이는 크기가 달라진다.


이날 달과 지구가 가장 가까워지는 시간은 오후 8시 21분경으로 동쪽 하늘 고도 32도 부근에서 관측된다. 이 시각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35만 6,509km로 평균 거리인 38만 4,400km보다 짧다.

관련기사



이날보다 달과 지구가 가까웠던 것은 68년 전인 1948년 1월 26일이었고, 앞으로는 18년 후인 2034년 11월 26일에 다시 슈퍼문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날씨가 흐려 관측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기상청은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전남, 경남, 제주도에는 비가 오다가 오후에 차차 그칠 것으로 예보했다.

이날 서울 기준으로 오후 5시 29분에 달이 뜨며, 지는 시각은 15일 오전 6시 16분이다.

/김영준인턴기자 gogundam@sedaily.com

김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