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내년 3월까지 '노숙인 특별보호대책' 가동



일찍 찾아온 추위에 시린 겨울을 보낼 노숙인들을 위해 서울시가 일찌감치 ‘노숙인 특별보호대책’ 가동에 나선다.

서울시는 16일 오후 2시 서울역 인근 삼경교육센터 라움에서 ‘겨울철 노숙인 특별보호대책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내년 3월까지 △거리상담 활동 확대 △응급잠자리 제공 △여성전용 응급보호시설 확대 운영 △중증 질환자 집중관리 △24시간 위기대응콜센터 가동 △구호물품 제공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노숙인 특별보호 활동을 이어간다.

우선 노숙인시설과 협업해 35개조 89명의 노숙인 순찰·상담반을 편성해 서울시 주요 지역을 매일 2∼4회 순찰하며 노숙인 상담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거리에서 밤을 지새는 이들을 위해 서울역·영등포역 인근 무료 급식소나 응급대피소 등을 활용해 1,200개의 응급잠자리도 마련했다. 단체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해서 별도로 고시원 등을 활용한 응급 쪽방도 110개 확보해뒀다.


올해 1월 문 연 전국 유일 여성노숙인 일시보호시설 ‘디딤센터’에도 최대 40명의 여성 노숙인을 보호할 수 있는 응급 쪽방을 마련해뒀다.

관련기사



노숙인 중 고령 또는 중증질환자를 별도로 선별해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살피고 필요하다면 전문 보호시설이나 병원으로 안내할 방침이다.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 노숙인 위기대응콜(1600-9582)도 24시간 상시 운영한다.

노숙인 구호물품 지원에도 신경 쓴다. 침낭과 매트 각각 950개, 핫팩 10만 개 등을 노숙인종합보호시설을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이나 민간단체, 종교단체를 통해 기부 받은 겨울 의류 4만 5,000여 점도 서울역 우리옷방, 응급구호방, 시설 등을 통해 노숙인에게 지급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시내 평균 노숙인 수는 총 3,476명이다. 이중 3,155명은 일시보호시설이나 자활·요양시설 등에 입소해 있고, 321명은 서울역·영등포역 등 거리에서 생활 중이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