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포스코, 크롬 첨가 고합금 단조용 슬래브 생산, 발전설비용 소재 국산화에 박차

국산화한 고합금 슬래브를 이용해 생산 가능한 단조부품 종류와 해당단조를 발전소 열교환기에 적용하는 예시 단면도 사진제공: 포스코/장순관 기자국산화한 고합금 슬래브를 이용해 생산 가능한 단조부품 종류와 해당단조를 발전소 열교환기에 적용하는 예시 단면도 사진제공: 포스코/장순관 기자


포스코가 최근 개발에 성공한 고합금 단조용 외판 슬래브는 크롬이 5~9% 첨가된 고합금강으로 내식성·고온특성이 우수해 석유화학플랜트, 화력발전소 등의 각종 압력용기와 배관용 자재로 사용된다.

이번에 상용화한 5~9%의 크롬 첨가 합금강은 제조공정이 까다로워서 국내에서는 그동안 전량 유럽지역 특수강 업체로부터 수입에 의존해 왔다.

크롬 고함량 합금강을 생산할 때는 다량의 합금철 투입이 필수조건이다. 하지만 탄소강 전로에서 합금철을 다량 투입시 용강 온도 및 크롬 실수율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기술개발을 통해 포스코는 2015년 크롬을 5%, 9% 첨가한 2종을 개발·상용화했다. 금년에는 발전설비 고효율화에 따른 고온특성 요구 추세에 대응코자 텅스텐을 첨가한 규격강 1종을 추가로 개발했다.

관련기사



개발에만 그치지 않고 최종 단조부품의 품질보증도 강화했다. 단조용 슬래브는 상온에서 충격에 약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크랙 민감강이므로 연주 후 슬래브를 느린 속도로 냉각하는 조업 패턴을 확보했으며, 슬래브 중심부 수축공과 표면크랙 개선 기준도 정립했다.

또한, 단조 고객사의 가열부터 압연 공정까지 온도 조업조건 최적화 기술 지원 등 솔루션마케팅 활동도 병행했다.

포스코는 이번 고합금 단조용 외판 슬래브 개발로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의 틈새 시장에 연간 최대 5천톤 규모의 고수익강 신규 판매가 가능해졌으며 국산화 대체로 단조 고객사들의 소재 구매가격 절감 및 납기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장순관 기자

장순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