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한국과는 해법 다른 대만...해운업 구제에 2조 투입

"경제발전 핵심"

우대금리 신용공여 등

파산방지 지원 잇따라

대만 정부가 경영악화에 시달리는 자국 해운사들을 구제하기 위해 19억달러(약 2조2,300억원) 규모의 자금지원에 나선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대만 정부가 한국의 한진해운 사태와 같은 해운사 파산을 막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며 대만 정부가 승인한 자금지원 패키지에는 대만 양대 해운사인 에버그린과 양밍해운 등에 우대금리를 적용한 신용한도를 공여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적용금리는 통상 선주들에 적용되는 대출금리인 6~7%보다 훨씬 낮은 2.9% 수준이 될 것이라고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왕궈차이 대만 교통통신부 차관은 “대만은 대규모 재화를 운송하는 해운업체들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들은 대만 경제 발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왕 차관은 이어 지난 8월 한국의 한진해운 파산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혼돈에 빠지고 140억달러어치의 재화가 수개월 동안 바다에서 표류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언급하며 “이 사태는 해운업이 통제 불가능할 정도로 타격을 입기 전에 정부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원 배경을 설명했다.

대만 현지 매체인 타이완타임스에 따르면 대만 정부는 이번에 발표한 지원책 외에도 항만시설 이용요금 감면 등의 추가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만 은행연합회도 해운사의 모기지 상환기일을 연장해주기로 합의한 상태다.


왕 차관은 이 같은 지원에 힘입어 대만 해운업이 2년 이내에 위기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WSJ에 따르면 해운업은 글로벌 교역 둔화와 화물선 공급과잉으로 30년 만에 최악의 침체를 겪고 있다. 올해 글로벌 교역량은 전년 대비 1.7% 증가에 그쳐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래 최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또 화물선 공급과잉으로 운임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해상운임 기준인 아시아~유럽 노선의 월평균 컨테이너 운임은 700달러 밑으로 떨어진 상태다. 이는 손익분기점인 1,400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해운업계는 올해 상위 20개 업체들의 손실액이 총 1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계 7위와 10위 해운사인 에버그린과 양밍의 경우 올 들어 9월까지 쌓인 적자가 두 회사를 합쳐 5억8,000만달러를 웃돌았다. WSJ는 두 회사가 지난 수년간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사들이면서 막대한 차입을 한 상태다. 이들은 경영위기 해소를 위해 합병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서로 다른 해운동맹에 소속된 두 회사의 합병절차가 복잡해진다는 이유로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WSJ는 전했다.

한편 지속되는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해운업계는 앞다퉈 사업 통합과 제휴 등을 통한 비용절감에 나서고 있다. 일본의 3대 해운사인 닛폰유센·쇼센미쓰이·가와사키기센이 지난달 컨테이너 사업 통합을 발표했으며 앞서 올해 초에는 중국 양대 국영선사인 중국원양운수집단(COSCO)과 중국해운(CSCL)이 통합한 중국원양해운(CCSG)이 출범했다. 프랑스의 CMA CGM도 싱가포르 해운사인 NOL을 인수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