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유일호 “트럼프 시대, 시나리오별 대응방안 마련할 것”

주요 국책연구기관장과 '미 대선 경제 영향' 간담회 개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미 대선의 경제적 영향 및 대응방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미 대선의 경제적 영향 및 대응방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시대를 맞아 시나리오별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17일 유 부총리는 주요 국책 연구기관장, 민간 전문가 등과 함께 ‘미 대선의 경제적 영향 및 대응 방향’ 간담회를 열고 “미국의 정책변화에 따른 기회 및 위험요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토대로 실제 정책으로 이행 가능성을 점검해 시나리오별 대응방안을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 이후 미 신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영향을 예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유 부총리는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통상환경 변화가 현실화하면 세계 경제는 물론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자가 감세 및 재정지출 확대 등을 공약한 것은 총수요 확대 등 미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되지만 보호무역 강화는 하방 리스크를 확대 시킬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주요 대선 공약이 어느 시점에 어떤 수준, 방식으로 실현될지 여부가 불확실한 만큼 구체적인 영향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미국 금리 인상 등 통화 및 금융정책 관련 불확실성도 상존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양호한 외환 보유액 및 단기외화부채 상황, 금융회사의 건전성 등을 감안 할 때 미 금리 인상 시에도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기재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미 대선의 경제적 영향 관련 대응방안을 보다 구체화해 다음 달 중 발표할 예정인 ‘2017 경제정책방향’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을 통해 국내외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등 우리 경제와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관리에 한 치의 빈틈도 없도록 최상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유병규 산업연구원 원장, 신성환 금융연구원 원장 등과 주요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