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투자의 창] 트럼프 시대 금융시장 모습은

오승훈 대신증권 글로벌마켓전략실장오승훈 대신증권 글로벌마켓전략실장




트럼프 경제 정책 방향의 핵심은 감세와 규제 완화와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해 경제를 활성화 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의 기저에는 지난 8년 오바마 정부의 혁신 중심의 경제정책(Tech Economy)과 자유무역 정책이 전체 미국인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인식을 깔고 있다. 오히려 일자리가 감소하고 실질 소득이 줄어 경제성장의 과실이 소수에 집중되었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트럼프의 정책 방향을 조합해 보면 단기적(6개월)으로는 성장과 물가 상승에 긍정적 측면이 강하고 장기적(1년 이상)으로는 조정이 필요하거나 오히려 장기 성장을 훼손하는 정책이 혼재되어 있다.

단기적 관점에서 트럼프 당선이 주는 금융시장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현재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트럼프의 총수요 확장 정책은 연준 옐런 의장이 언급한 고압경제(high-pressure Economy)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가 유지되는 한 내년 1·4분기까지 인플레 상승의 긍정적 측면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둘째 미국 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대규모 재정정책(감세, 인프라투자)은 오바마 정부가 추구했던 장기재정 적자 축소 기조와 다른 방향이다.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모두 석권했기 때문에 2001년 부시, 2009년의 오바마 당선 첫해처럼 대규모 재정정책에 의한 기초재정수지의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 성장에 대한 기대와 재정적자 확대 우려가 맞물리면서 미국 금리 상승 압력은 한층 높아질 수 있다.

관련기사



셋째 신흥국 자산의 불확실성이 단기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트럼프가 추구하는 성장은 글로벌이 아닌 미국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보호무역주의와 이민정책이 이를 대표한다. 따라서 글로벌 확산 효과는 약하고 신흥국의 공급과잉에 더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신흥국에 부정적이다.

마지막으로 당장은 아니지만 내년 1·4분기 이후 연준의 통화정책 신뢰도가 시험대에 놓일 수 있다. 인플레 압력이 상향되는 과정에서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어느 수준에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내년 상반기 중에 나타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정권교체가 이뤄지는 만큼 산업정책의 변화도 매우 크게 나타날 것이다.

오바마의 핵심 정책이었던 오바마케어, 이민법, 자유무역협정,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폐지 및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트럼프는 오바마케어의 폐지 및 대체 입법을 주장하고 있다. 메디케어·메디케이드등 사회보장 성격의 의료지출은 큰 틀에서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트럼프의 정책이 현실화 된다면 헬스케어 서비스는 타격을 받고 민간 건강보험은 수혜를 받을 수 있다. 에너지 정책도 크게 달라진다. 트럼프는 공식적으로 파리기후협정 폐기, 화석연료에 대한 규제 완화 및 생산 확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에너지·석탄 기업이 수혜를 받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금융·은행 정책은 규제 완화에 입장에 서 있다. 대형은행 분할에 반대하며, 금융규제안을 담은 도드·프랭크법안에 대해서도 폐기 입장을 보여 은행주는 규제 완화와 금리상승의 수혜를 받을 수 있다.

오승훈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