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LGU+, 화웨이와 IoT 산업 활성화 ‘오픈랩’ 개소

NB-IoT 기술 개발 위한 ‘오픈랩’ 국내 첫 개소

개발사에 칩셋·모듈 10만개 무료 제공… “글로벌 진출 발판”

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IoT) 생태계 조성과 상용화를 위해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손잡기로 했다.

LG유플러스와 화웨이는 21일 LG유플러스의 서울 상암 사옥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협대역 사물인터넷 표준기술(NB-IoT) 기술 개발 등을 위한 ‘오픈랩’을 연다고 밝혔다. 가스·수도·전기 검침, 위치 추적용 기기를 비롯해 미래 스마트 시티(Smart City) 사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IoT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이상민 LG유플러스 기술개발부문장 전무는 “국제 표준 기술인 NB-IoT를 국내에서 조기에 상용화하고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으로 진출할 계획”이라며 협력 포부를 밝혔다.


NB-IoT는 기존 LTE 망의 좁은 대역을 이용해 150 kbps 이하의 전송 속도, 8km 이상 장거리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안정성이 높아 스마트 가로등·미터링 등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는 NB-IoT 오픈랩에서는 단말, 서비스 솔루션, 시스템 통합업체 등 다양한 협력사를 위해 기술 테스트 검정 환경과 종합적인 프로세스를 갖춘 점이 특징이다. 관련 업체는 사업 및 서비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기업 간 기술을 연계하거나 칩·모듈 등의 장비, 기술을 도움받는 등 기획부터 영업까지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 오픈랩이 개소한 것은 처음이다. 화웨이는 지난 4월 영국 뉴버리(Newbury)에 NB-IoT 오픈랩을 처음으로 연 데 이어 중국, 중동, 유럽 등으로 넓혀가고 있다.

관련기사



화웨이 셀룰러 IoT 제품 라인을 맡는 주청(Zhu Cheng) 사장은 “다양한 협력, 오픈 생태계 구축을 통해 NB-IoT 기술 혁신과 상용화를 선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오픈랩에서 칩셋부터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을 전방위로 지원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NB-IoT 산업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