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해수부, ‘5년간 40조원’ 커지는 선박평형수 시장에 우리 기업 진출 지원

오염 일으키는 선박평형수 규제 강화

2017년 9월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의무화



정부가 앞으로 약 40조원 규모의 신시장이 생기는 선박평형수 처리 설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지원에 나선다. 국제사회의 환경규제 강화로 커지는 시장인데 우리 기업들을 지원해 관련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윤학배 해양수산부 차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선박평형수관리 협약 발효에 대한 세계시장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윤 차관은 “국정과제인 ‘해양신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국내 기술로 차세대 선박평형수처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시장 선점 확대를 꾀하겠다”면서 “이와 동시에 법령을 정비하고 규제를 개선해 (규제 시행에 따른) 만반의 준비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선박평형수에는 유해 수상생물과 병원균 등이 포함돼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있다. 이 때문에 지난달 24일에서 28일까지 런던에서 열린 제70차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101개 회원국과 59개 정부·비정부간 국제기구 대표 는 선박평형수처리설비의 정부형식승인지침(G8)을 마련했다. IMO는 항만에서 처리되지 않은 평형수 배출을 금지하기 위해 선박 내 평형수 처리 설비 의무화할 방침이다. 국제사회의 합의에 따라 ‘선박평형수 관리 협약’을 내년 9월 8일자로 발효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우리나라는 이미 3조6,000억원 규모인 선박평형수 처리 시장의 49%(1조7,307억원)를 차지하고 있다. 해수부는 협약 발효 후 5년간 약 40조원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조 선박의 경우 연간 약 2,000여척, 약 1조원의 추가 수요가 생길 전망이다. 이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더 확대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현재 수준보다 높은 처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17년까지 약 120억원을 지원한다. 또 핵심부품 공동 구매와 국산화 기술 개발을 2018년까지 마치기로 했다. 우리 제품이 미국 승인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국선급,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이 적극 돕기로 했다. 내년 상반기에는 국적 해운사가 선박평형수 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설비 공동 구매 논의를 위한 민간상생협의체도 만든다. 또 1조원 규모의 친환경선박(에코쉽) 펀드를 활용해 설비의 설치 비용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중국, 일본과 협의해 선박평형수 처리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해역을 지정하는 논의에도 들어갈 예정이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