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경제자유구역 ‘입주기업 사후 관리담당관제’… 속빈 강정 논란

대기업 2곳 타지역으로 이전 추진…동향 파악조차 파악 못해 빈축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전담할 ‘입주기업 사후관리담당관제’가 ‘속빙 강정’이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송도국제도시에 입주해 있는 대기업 2곳이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마쳤거나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데도 이를 까맣게 모르고 동향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23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팀장급 이상 간부 75명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 입주기업 68곳을 대상으로 사후관리담당관제를 운영 중이다.

간부 공무원 1명이 각각 1개의 입주기업을 담당하게 되며 해당 기업에 대한 애로 및 고충처리 전담창구로서 기업애로 사항을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월 1회 이상 해당 기업을 방문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각종 기업간담회·기업설명회 등 해당 기업과 관련된 행사에 모두 참석해 해당 기업의 후견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도에도 불구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코오롱워터앤에너지와 코오롱글로벌의 본사 이전 및 이전 추진 동향을 파악조차 하지 못했다.

관련기사



송도 IT센터에 입주했던 코오롱워터앤에너지는 지난 9월 송도를 떠났고 송도 IT센터를 본사 사옥으로 쓰고 있는 코오롱글로벌은 사옥을 과천으로 다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사후관리담당관 제도는 송도국제도시 입주기업 전체가 아니고 기업의 희망 여부와 규모 등을 고려해 지정하고 있다”며 “코오롱글로벌의 경우 대상에서 빠져 있는 이유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코오롱글로벌과 함께 IT센터 건립 사업을 추진한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는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이전 사실과 코오롱글로벌 이전 검토 진행사항을 파악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뚜렷한 대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이전은 개인 회사의 결정으로 인센티브 제공이 없는 상황에서 이전을 막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입주기업(5인 이상) 수는 2003년 8월 294개에서 2008년 673개, 2013년 1,239개, 2015년에는 1,737개에 이르고 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