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이슈&워치] 한류·관광, 차이나포비아에 떨다

한류 규제 이어 유커 증가세↓

中 사드 보복 후폭풍 현실화

"사실상 저강도 경제전쟁 상황"

'崔게이트'에 정부대응 무방비

2515A01 10월 기준 방한 유커 성장률 추이2515A01 10월 기준 방한 유커 성장률 추이


“사실상 저강도 경제전쟁입니다.”

중국의 한류규제에 이어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유커) 증가 수치가 정체되기 시작한 데 대한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관련된 중국의 보복적 대응이 한국 관광산업의 뜨거웠던 성장동력을 단숨에 냉각시킨 결과를 두고 토해낸 우려이기도 하다.


지난 10월 우리나라를 찾은 유커의 전년동기 대비 성장률이 4.7%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 성장률 15.6%에 비하면 수직낙하다. 같은 달 중국 정부가 자국 여행사에 방한 단체여행상품 판매 20% 감축을 지시하고 나서 엄청난 후폭풍이 즉각 현실로 나타났다. 중국의 ‘유커 제한’은 사드에 대한 보복일 개연성이 크다. 앞서 중국은 대만에도 유사한 조치를 취해 순식간에 대만행 유커가 반토막 났고 여행사와 항공사들의 파산이 잇따랐다.

관련기사



23일 체결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대한 중국의 불편한 심기도 관광한국에는 큰 부담이다. 이 협정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주변국이 냉전시대의 사고를 하고 군사협력을 강화하는 현 상황은 한반도에서의 대립과 대치를 격화시키고 동북아 지역에 새로운 불안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관광업계에서는 당장 11월과 이후의 마이너스 성장을 걱정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이 사드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연예인들의 중국 내 공연과 드라마를 제한한 데 이어 관광에서도 저가 패키지 유통 단속을 핑계로 복수의 칼날을 휘두르기 시작했다”면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이 또 다른 보복의 빌미가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국내의 무방비한 대응체제도 큰 문제다. ‘최순실 게이트’로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 기능이 거의 마비된 상태에서 정부와 업계의 체계적인 대응은 언감생심이다. 정부의 시스템 회복을 통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업계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 때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