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경제 허리, 40대 소득 첫감소

사업소득 감소 주된 영향…한국경제 허리 ‘휘청’

부양가족·가계지출 가장 많은 연령대…사회 불안 전이 가능성

지난 2003년 가계동향 조사가 시작된 후 처음으로 한국 경제의 허리인 40대 가구의 소득이 줄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3·4분기 가구주 연령 40∼49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05만2,15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9원(-0.03%) 감소했다.


40대 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지난해 2·4분기까지만 해도 전년동기 대비 5% 이상 증가하며 안정된 성장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해 4·4분기부터 이상신호가 감지되기 시작했다. 4·4분기 소득 증가율이 1.63%로 떨어지더니 올 2·4분기에는 증가율이 0.2%로 추락했고 급기야 3·4분기에는 뒷걸음질쳤다. 40대의 소득감소는 사업소득이 1년 전보다 6만2,000원(5.9%) 줄어든 월 97만8,000원에 그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관련기사



40대는 사회생활 기간이 짧고 이직이 잦은 20∼30대, 명예퇴직 등으로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는 50∼60대와 달리 상대적으로 소득이 안정돼 있다. 금융위기의 여파로 대부분 연령대의 가구소득이 감소했던 2008∼2009년에도 40대 가구는 증가폭만 둔화했을 뿐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증가하며 전체 소득의 낙폭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 평균 가계지출은 월 412만원으로 60세 이상 가구주 가구(213만원)의 2배에 육박한다. 소득·소비 양면에서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을 한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 계층으로 판단되는 이유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40대 가구주 가구는 대한민국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자영업 경기 악화, 실업 등이 반영된 결과인데 이들의 소득감소는 경제위기의 심각한 신호”라고 말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