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스마트폰 한계 뛰어넘는 모바일 클라우드 특허출원 증가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모바일 클라우드 관련 특허 출원도 증가하고 있다.

27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6년 10월 현재까지 모바일 클라우드 관련 특허출원은 모두 878건이었다. 연도별 출원 현황을 보면 2008년 2건에 불과했는데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보급과 함께 2009년 11건, 2011년 108건, 2013년 145건, 2015년 164건, 2016년 10월 기준 140건으로 꾸준하게 늘었다.

모바일 클라우드는 모바일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이 결합된 개념이다. 소비자가 모바일 기기 종류에 상관없이 원하는 콘텐츠를 컴퓨터 저장 시스템을 활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2008년부터 2016년 10월까지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 280건(31.9%), 대기업 189건(21.5%), 개인 160건(18.2%), 대학 및 연구기관 121건(13.8%), 외국인 119건(13.6%) 순이었다.

관련기사



기술분야별로는 모바일 클라우드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기술 출원이 557건(63.5%)으로 가장 많았으며 컴퓨팅 플랫폼에 대한 출원이 168건(19.1%), 클라우드와 모바일 데이터의 보안 및 인증 관련 출원이 117건(13.3%), 컴퓨팅 자원의 관리 기술에 대한 출원이 36건(4.1%)으로 뒤를 이었다.

응용 서비스 관련 출원이 많은 것은 이동통신 3사를 포함한 대기업들이 하드웨어 중심의 컴퓨팅 플랫폼 기술보다는 자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비중을 두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중소기업이나 개인들도 자본력보다는 창의성이 요구되는 응용 서비스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한 영향도 컸다.

박제현 특허청 컴퓨터시스템심사과장은 “앞으로 웨어러블 등 사물 인터넷 시장이 커질수록 모바일 클라우드 시장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응용 서비스뿐만 아니라 정보 유출과 서비스 장애로 인한 보안 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특허출원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