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당 "국정교과서 원고본에는 朴대통령 취임식 사진 있었다"

지난 30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파이낸스 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기자회견에서 한 조합원이 주먹을 쥔 채 앉아 있다. /연합뉴스지난 30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파이낸스 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기자회견에서 한 조합원이 주먹을 쥔 채 앉아 있다. /연합뉴스




현장 검토본 공개 후 도입 논란 중심에 있는 국정 역사교과서 원고본에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 사진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별위원회는 “국정 역사교과서 원고본(초본)에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 사진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특위가 ‘국정교과서 원고본 외부검토 보고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당초 원고본 408쪽에 박 대통령 취임 선서 사진이 들어가 있었고, 전문가들의 ‘교체’ 의견에 따라 현장 검토본에는 삭제된 채로 공개됐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특위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제 치적을 강조하고 박 대통령의 사진까지 넣으면서 사실상 박 대통령 가족을 미화하는 교과서를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냐”며 비판했다.

또한 특위는 보고서에 등장한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 역시 상당히 편향적이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전문가들은 작년 한·일 정부가 체결한 위안부 합의 내용을 들면서 “지난해 12·28 합의를 반영할지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는 민간사업이라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권고했다. 원고본에 기재돼 있던 ‘트럭에 실려가는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 사진’에 대해서도 외부 전문가들은 “감정에 호소하는 기술”이라고 지적했고 해당 내용은 교과서에서 빠졌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국회의원들의 야스쿠니 신사 집단참배에 대한 내용도 원고본에 있었으나, 현장검토본에는 빠져 있다. 이승만 전 대통령 시절 개헌에 대해서는 ‘전쟁 중 개헌으로 국군통수권자 교체는 국가안위에 중대한 문제’라는 배경을 추가하라고 권했으며, 유신반대운동 부분에서는 ‘김대중 납치사건 후부터 운동이 본격화된 것으로 언급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지난 2일 한 여론조사 기관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여론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67%가 반대 의견을 보일 만큼 부정적인 여론이 높지만 교육부는 도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