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자궁경부암 백신 맞은 15만여명 특이반응 없었다”

질병관리본부, 이상반응 신고 16건

증상 가볍거나 타 질환 등이 원인

중1, 연내 1차접종해야 2차도 무료

만 12세(중1) 여학생들이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은 뒤 이상반응으로 신고한 16건 모두에 대해 보건당국이 ‘특이반응은 없으며 안전하다’는 결론을 냈다.


질병관리본부는 ‘예방접종 피해보상 전문위원회’가 신고 사례를 심의한 결과 특별히 우려할만한 자궁경부암 백신만의 이상반응이 없어 백신의 안전성을 재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전문위원회는 소아과·감염내과·신경과·예방의학과·법의학 전문의, 변호사 등 외부 위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본부 당국자 2명 등 총 15명이 위원으로 참여해 예방접종 이상반응에 따른 피해보상을 결정하는 기구다.

◇‘주사 공포성 실신’ 뺀 진짜 이상반응 3명뿐= 신고된 16건은 지난 6월 20일부터 11월말까지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은 15만4,122명의 0.01%에 해당한다. 증상별로는 예방접종 직후 일시적인 의식소실(실신) 4건, 두드러기 4건, 발열·두통 4건, 접종부위 통증 2건, 근육마비 1건, 족부 염좌 1건이었다. 백신 종류별 이상반응 신고건수는 약 12만건 접종된 ‘가다실’(MSD)이 11건(0.0092%), 약 3만4,000건 접종된 ‘서바릭스’(GSK)가 5건(0.014%)이었다.

전문위원회는 16건 중 일시적 실신 4건, 접종부위 통증 2건, 뺨에 발생한 두드러기 1건 등 총 7건이 백신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했으며 증상은 모두 경미했다.

잠깐 실신한 4명은 백신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주사에 대한 두려움 등 심리적 요인으로 접종 직후나 5~10분 뒤 정신을 잃었다가 곧 깨어났으며 별다른 후유증을 보이지 않았다.


접종 20분 뒤 뺨에 두드러기가 생기고 목이 붓는 느낌이 있다는 A양은 의료기관에서 항히스타민제 주사를 맞고 증상이 사라졌다. 접종일에 발적·부종 없이 접종부위 통증만 호소한 B양은 진통제 복용 후 괜찮아졌다. 백신을 맞은 다음날 접종부위 통증, 이틀 뒤 통증과 근력저하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은 C양은 진통제를 맞은 뒤 별 이상이 없어 퇴원했으며 1~2주 뒤 증상이 사라졌다.

관련기사



◇16명 중 5명은 다른 질환 등이 원인= 전문위원회는 의심증상으로 두드러기, 발열, 두통·시야변화, 근육마비, 족부염좌를 각각 신고한 5명에 대해 편두통, 재발성 두드러기, 바이러스 감염, 염증 등 다른 이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아 ‘백신과의 관련성이 낮다’고 판단했다.

두통·시야감소를 신고한 D양은 접종 다음날 시야감소 증상이 20~30분간 나타난 뒤 없어졌고 안과에서 시신경·시야검사를 받은 결과 이상이 없어 ‘편두통 전구증상’으로 분류됐다. 접종 다음날 아침 엄지발가락·발바닥 통증으로 걷기 불편해 정형외과에서 족부염좌 진단을 받은 E양은 염좌치료 2~3일 뒤 호전됐다.

접종 후 간헐적으로 두드러기가 반복해서 발생해 접종 한달 반 뒤 신고한 G양은 피부과에서 두드러기 약을 처방받아 증상이 생겼을 때 복용했더니 호전돼 ‘재발성 두드러기’ 판정을 받았다. 접종 다음날 안면근육마비 증상으로 신경과를 찾은 H양, 두통·오심·발열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은 I양은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고 항바이러스제 치료 등을 받은 뒤 호전됐다.

◇4명은 경미하고 회복 빨라 관련성 판단불가= 전문위원회는 두드러기, 발열 증상을 신고한 4명은 신고자들의 증상이 경미했고 회복도 빨라 백신의 이상반응인지 백신과 관련 없는 증상인지 판단할 수 없다는 결론을 냈다.

J양은 접종일 밤 발열·두통·오심으로 고생하다 다음날 발열(38.7℃)과 함께 잠시 쓰러졌다가 바로 회복됐다. K양은 접종일 오후 두통·발열·어지러움으로 응급실을 찾았다가 해열제 주사를 맞고 퇴원했으며 이틀 뒤 증상이 사라졌다. L양은 접종일엔 얼굴에, 다음날엔 가슴에 두드러기가 생겨 피부과에서 약·주사제 투약 후 호전됐으며 ‘음식물로 인한 두드러기로 의심된다’(진료 의사)는 진단을 받았다. 아토피가 있던 M양은 접종일 밤부터 가렵고 가슴·등에 발진이 생겼으나 평소 쓰던 아토피 연고를 바른 뒤 호전됐다.

보건당국은 올해 6월 2003년생(만 12세, 중1) 여학생을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에 들어갔지만 국내외에서 이상반응 소식이 전해지면서 11월까지 33%(15만4,122명)만 1차접종을 받았다. 2003년생은 연내 1차접종을 받아야 내년에 2차접종 비용(15만~18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자궁경부암 백신은 만 12~13세엔 6개월 간격으로 2회만 맞으면 되지만 14~15세 이후엔 3회를 맞아야 한다.

김중곤 전문위원회 위원장(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자궁경부암은 매년 1,000명이 사망하는 질환”이라며 “일부에서 나타나더라도 며칠이면 사라질 경미한 이상반응보다 암 예방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