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美 트럼프 행정부 출범후 최대 리스크는 금리 상승"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

금융 전문가들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금리상승을 꼽았다. 금리 급등이 가계부채 문제 심화, 기업 수익성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홍재문 은행연합회 전무이사는 5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은행연합회·한국금융연구원·국제금융센터 공동주최로 열린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에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가 급등할 가능성이 높고 그럴 경우 취약·한계 계층의 상환능력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홍 전무이사는 “은행들은 가계대출 중심의 규모 위주의 경쟁을 지양하고 자본수익률 제고 및 수익구조 다변화 등 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제 발표에 나선 서정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저소득층과 다중채무자, 한계기업의 상환능력이 악화할 수밖에 없어 은행의 자기자본 관리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최근 은행의 대출 금리 인상은 조달금리 변동에 기인한 것으로 국제적인 수준에서 그리 높지 않다고 평가했다. 최근 논란이 된 바 있는 혼합형 및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은 미국 대선 이후 발생한 5년물 금융채 금리 급등해 기인했으며 가산금리 산정 또한 합리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서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의 가산금리 상승이 반드시 이익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은행 스스로도 수익원 다각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제발표 이후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김완중 하나금융연구소 팀장은 “대출금리 수준에 대한 적정성 논란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 비교공시 확대 등이 필요하고, 실수요자에게 대출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