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겨울철 악화되는 소화불량과 붓고 시린 손발, 추위 때문만 아냐





날씨가 추워지면 근육이 수축되어 각종 근육통이 발생하듯, 손과 발에도 다양한 문제가 생긴다. 특히 손발이 많이 부으면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늘어나는데, 이러한 수족냉증은 혈액 순환 장애나 하지정맥류, 레이노증후군, 당뇨 등 관련 기저 질환들을 의심해 보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부산 해운대구 흥재연합한의원 박재흥 대표원장은 “겨울철이 되면 혈액순환 장애로 손발이 붓거나 시린 증상, 즉 수족냉증으로 인해 한의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난다. 아울러 이러한 환자 대부분은 담적병, 위경련, 소화불량, 안구 건조, 안면 홍조, 상열감, 두통, 만성피로 등의 증상을 흔하게 동반하며, 심한 경우에는 하지정맥류, 레이노증후군, 탈모증 등을 진단 받은 경우도 드물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속 혈관 판막 이상으로 혈액이 역류하여 혈관이 차츰 굵어지면서 혈관이 피부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질환이다. 또한 레이노증후군은 추위나 심리적 변화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혈액 순환이 떨어지면서 피부 색깔이 변하는 질환을 말한다.


날씨가 추워지면 인체 순환력이 떨어지면서 면역력(회복력)도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자주 나타나게 된다. 양의학적으로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 즉 자율신경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라 설명할 수 있으며, 한의학적으로는 머리는 차갑고 하체가 따뜻해야 건강 상태인데 반대로 상체로 열감이 몰리는 상태, 즉 수승화강(水昇火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을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현대 과학에서 말하는 공기 대류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와 비슷하다.

관련기사



수승화강(水昇火降)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상태, 즉 자율신경 균형이 무너져서 순환 장애가 생겼을 때는 손발이 붓거나 시린 수족냉증 뿐만 아니라 소화제를 먹어도 낫지 않는 소화불량, 위경련, 담적병, 더부룩함 등이 유발되며. 두통, 만성피로, 생리불순, 생리통, 안구 건조, 안구 충혈과 피로감, 탈모증, 지속적인 상열감과 안면홍조 등도 흔하게 함께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평소 몸을 따뜻하게 해주면서 추운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스트레스 관리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서 반신욕, 족욕 등을 자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양방적으로는 혈관 확장제나 교감신경 억제제 등 약물을 쓰거나 교감신경 차단술 등을 시행할 수 있지만, 치료 효과가 미미하고 재발하는 경우도 많다. 이럴 때는 인체 기능 조절을 중요시하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매우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한약치료, 침치료, 약침치료, 추나치료 등을 이용하여 자율신경 균형을 맞춰주면, 수승화강(水昇火降) 기능이 원활해지고 혈액 및 림프 순환 등도 좋아져서, 손발 붓기와 시림, 소화불량, 위경련, 담적병 뿐만 아니라 만성피로, 두통, 생리불순, 생리통, 안구 건조, 안구 피로감, 탈모증, 상열감, 안면홍조 등 여러 가지 증상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물론 재발 방지 효과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박재흥 원장은 “혈액 및 림프 순환 등을 돕는 한의학적 치료는 양방적인 검사나 치료를 받았지만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 특히 좋은 치료 결과를 보인다”며, “추워진 날씨에 손발이 붓거나 시리면서 소화불량, 위경련 증상이 있다면, 방치하지 말고 가까운 한방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볼 것이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