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 학생 읽기·수학·과학 능력 3년 전 비해 하락

■PISA 2015 결과 발표

읽기 3~8위, 수학 1~4위, 과학 5~8위

3년 전 비해 모든 영역 순위 떨어져

하위권 비중도 크게 늘어 학력저하 심화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수학·과학 능력이 3년 전에 비해 다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하위권 학생의 비중이 크게 늘어 학력저하를 막을 대책이 시급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6일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5 결과 한국의 만 15세(중3~고1) 학생들의 읽기능력은 517점으로 OECD 35개국 중 3~8위, 수학은 524점으로 1~4위, 과학은 516점으로 5~8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PISA는 읽기·수학·과학 분야의 성취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3년 주기로 각국 학생들을 평가한다. 이번에는 OECD 회원국 35개국을 포함해 총 72개국의 만 15세 학생 54만명이 참여했다. PISA는 학습능력에 따라 성취수준을 1수준 미만~6수준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상위권은 5·6수준, 하위권은 1수준 이하로 분류한다.


2015년 각 영역 순위는 3년 전에 비해 다소 하락했다. 3년 전 조사에서 한국 학생들의 읽기능력은 536점으로 1~2위, 수학은 554점으로 1위, 과학은 538점으로 2~4위를 기록했었다. 특히 수학능력 하락이 심각하다. 상위권 비중이 지난 2012년 30.9%에서 2015년 20.9%로 10%포인트나 감소했고, 하위권 비중은 같은 기간 9.1%에서 15.4%로 늘었다.

관련기사



수학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상위권 비중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하위권이 크게 늘어 양극화가 심화됐다. 읽기능력의 경우 지난 2012년 하위권 비중이 7.6%였지만 2015년 13.6%로 증가했다. 수학도 같은 기간 9.1%에서 15.4%, 과학 역시 6.7%에서 14.4%로 늘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학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학력저하가 이어지면서 글로벌 순위도 떨어졌다”며 “앞으로 기초학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에 더욱 관심을 갖고 정책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