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野 “어머니 이름으로 용서못해”…세월호 머리손질 ‘맹공’

냉혈한, 사이코패스 등 비난 쏟아내

"참담·분노·허탈감마저 느껴”

靑, "미용사는 외부 손님 아닌 계약직 직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은 7일 세월호 참사 당일인 2014년 4월 16일 박근혜 대통령이 관저에서 머리 손질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냉혈한”, “싸이코패스” 등에 비유하며 거칠게 비난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뉴스를 보고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치솟았다”며 “대통령은 더 이상 어머니의 이름을 부르지 마시라. 어머니의 이름으로 대통령을 용서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추 대표는 자신의 어린 시절의 일화를 소개하며 “내 새끼 뿐 아니라 남의 자식도 살려달라고 하면 죽어가던 사람도 온 힘을 다해 살려주는 게 사람의 마음이다. 그 순간을 생각하면서 마음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답답했다”고 표현했다.

금태섭 대변인은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수백명의 생명이 목숨을 잃어가고 있는데 그 상태에서 머리를 했다는 것은 아예 국민의 생명에 대해 직무유기에 가까운, 심하게 이야기하자면 냉혈한이나 사이코패스 같은 태도를 취하지 않았나 싶다”며 “대통령으로서 최소한의 국민 생명권을 보장해야 할 의무를 어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조특위 위원인 안민석 의원은 CBS 라디오에 출연, “천인공노할 일로, 오늘부로 대통령이 하야해야 한다”며 “대통령으로서 아이들을 생각하면 볼일을 보다가도 맨발로 뛰쳐나와도 시원치 않다. 자기 자식의 일이라면 그랬겠나”고 반문했다.

관련기사



김동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의원총회에서 “절체절명의 시간에 구조의 골든타임 90분을 방치했다고 한다. 우리는 이런 사람을 대통령으로 모시고 있었다.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올림머리든 내림머리든 국민이 죽어가는 데 머리하고 앉아있을 수 있는 정신상태의 박근혜 대통령을 우리는 모시고 살았다”며 “국민의 분노는 하늘을 찌른다. 자신의 머리와 어린 학생의 생명, 무엇이 중요한지조차 분별하지 못하는 대통령”이라고 비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관련 의혹에 대해 “미용사는 시간제 계약직 직원으로 출입증을 찍고 들어간다”면서 “출입한 것은 어제 드린 자료 그대로”라고 해명했다.

세월호 참사 당일 외부에서 관저로 들어온 인원이 없다고 밝힌 이영석 청와대 경호실 차장의 발언과 배치되는 것에 대해서는 “미용사는 계약직 직원으로 외부 손님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