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탄핵 가결..헌재재판관 성향은]보수 6·진보 2·중도 1..."정치성향 심판결과에 큰 변수 안돼"



국회가 9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통과시키면서 헌법재판관들이 마지막 공을 넘겨받게 됐다. 정치적 성향으로 나눴을 때 헌법재판관 상당수가 ‘보수’로 분류되지만 이번 사안에서는 재판관 성향을 예측 근거로 삼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탄핵심판은 재판관 3분의2 찬성, 즉 9명 중 6명의 찬성이 있어야 인용 결정이 내려진다. 헌재 구성을 보면 보수적 성향 재판관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박한철 헌재 소장을 비롯해 최소 6명의 재판관이 ‘보수’로 분류된다. 박 소장과 조용호·서기석 재판관은 박 대통령이 지명했다. 안창호 재판관은 새누리당에서 추천한 인물이다. 이진성·김창종 재판관은 양승태 대법원장이 추천했지만 대법원장을 지명한 인사권자가 박 대통령이라는 점에서 친여 성향으로 분류된다.


더불어민주당이 추천한 김이수 재판관은 진보 성향 인사다. 지난해 통합진보당 정당해산 결정 때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낸 재판관이다. 대법원장 추천 인물인 이정미 재판관도 진보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야 합의로 추천한 강일원 재판관은 중도 성향이다.

관련기사



헌법학자들은 이러한 정치적 성향 분류가 이번 탄핵심판 정국에서는 큰 변수로 작용하지 못할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탄핵심판은 법적 문제인 만큼 재판관들의 성향이 본질적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고 본다”며 “법적 증거가 명확하다면 탄핵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