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채안펀드 20조로 늘린다] "기업 돈가뭄 막아라" 금융당국 총력 지원체제

금융사들 필요성 공감...채안펀드 조성에 큰 무리 없을듯

신용등급 낮은 중기는 産銀 '회사채 인수지원' 통해 해소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송은석기자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송은석기자




1216A03채권시장안정펀드운용방법2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A등급 이하 회사채는 약 2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9일 현재 AA-등급 회사채의 12월 평균금리는 2.182%로 ‘차이나 리스크’로 시장이 불안했던 지난해 12월의 2.143%를 이미 넘어섰다. 금융당국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가장 먼저 채권시장안정펀드의 조성 규모부터 두 배로 늘려 잡은 것도 우량기업들의 돈줄이 말라붙을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다.

당장 이달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 상승(채권가격 하락) 압력을 부추기는 요소다. 여기에 탄핵소추안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이슈도 외국인을 비롯한 시장 참여자들에게는 불확실성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채권시장안정펀드는 물론 KDB산업은행의 회사채 인수 지원 프로그램으로 안전판을 마련해 시장의 변동성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대통령 탄핵안 가결의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은 것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 선물거래소에서 코스피200 선물지수는 258.8포인트로 전날 대비 0.6포인트 오른 상태에서 장을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 역시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1,168원80전에 거래돼 국내시장 대비 2원80전 오르는 데 그쳤고 우리나라의 신용부도스와프(CDS)도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미국의 금리 인상과 유럽은행의 부실, 중국의 외환시장 불안 등 복합적인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국내시장의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융당국이 주도하고 있는 채권시장안정펀드의 조성 작업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아직 출자해야 하는 금융회사 91곳 전부의 동의를 얻은 것은 아니지만 금융회사들도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필요할 때마다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인 만큼 펀드 조성 단계에서 금융회사의 부담도 크지 않다. 또 금리 급등 시(채권가격 하락) 매입한 후 금리가 안정되면(채권가격 상승) 매각하므로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투자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채권시장안정펀드의 매입 대상 채권은 신용등급 BBB+ 이상으로 기업의 펀더멘털만 놓고 보면 안정적인 자산으로 평가된다. 지난 2008년 당시 주로 A등급 이상의 우량회사채와 은행채 등을 매입했고 채안펀드 조성에 참여한 금융회사들은 투자금액 대비 평균 10%가량의 이익을 거둔 바 있다.

관련기사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견·중소기업의 자금경색은 산업은행의 ‘회사채 인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해소할 계획이다. 회사채 인수 지원 프로그램은 중위험 회사채의 미매각 물량을 산은이 5,000억원 규모의 자금으로 인수해주는 제도다. 금융당국과 산은은 당초 내년 1·4분기 중으로 회사채 인수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할 계획이었지만 시행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고 규모도 탄력적으로 늘릴 방침이다.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실물에 대한 직접적인 자금지원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산은과 기업은행은 대출 및 투자를 확대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은 적정 보증배수를 넘어선 보증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금융상황점검회의에 참석한 정책금융기관장들에게 “어려운 경제·금융여건을 감안해 가용여력을 총동원해달라”고 당부했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