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 등록이 가장 많은 곳은 전라남도

시·군·구 별로는 포항시, 진도군, 제주시가 9개씩 공동 1위

지역특산물 명칭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을 가장 많이 등록한 행정 구역은 전라남도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13일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 등록 건수를 조사한 결과 전라남도가 고흥유자, 강진청자, 광양매실 등 85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가 상주곶감, 청도미나리, 의성마늘 등으로 54건, 충청남도가 40건으로 뒤를 이었다.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은 상품의 품질, 명성 등이 원산지로 인해 생겼을 때 그 지명을 상표권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로 지난 2006년 처음 도입됐다. ‘장흥표고버섯’이 제1호로 등록된 이후 지난 10년간 332건(2016년 10월말 기준)이 등록될 정도로 활발히 사용돼 지역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전국 시·군·구 별로 살펴보면 경상북도 포항시(포항구룡포과메기 등), 전라남도 진도군(진도홍주 등),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제주은갈치 등)가 각각 9건으로 1위를 차지했고 전라남도 신안군이 신안소금 등 8건, 전라남도 광양시(광양매실 등)와 전라북도 무주군(무주머루 등)이 각각 7건의 등록된 지리적 표시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상품별로 들여다보면 332건의 등록사례 중 316건이 농축산물·임산물·수산물이거나 그 가공품이었고 강진청자, 남원목기와 같은 수공예품 등록건수는 16건이었다.

상표법상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은 화문석ㆍ나전칠기와 같은 수공예품 등록도 가능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는 수공예품 보호에 좀 더 관심을 갖고 등록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규완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은 지역특산물의 명칭을 보호하고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켜 지역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제도” 라며 “지역 주민의 소중한 공동 자산인 지리적 표시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개선해 지역경제활성화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