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울산 군부대 폭발사고 "병사들이 화약더미 밟아, 폭발지점에 1500~1600개 화약 보관"

울산 모 육군부대에서 발생한 폭발사고와 관련, 군 당국이 14일 “(다친) 병사들이 화약더미를 밟아 터졌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군부대의 허술한 장비관리 시스템이 도마에 오르겠다.

전날 군은 사고 부대의 탄약관리 부사관이 “훈련용 폭음통 1500~1600개의 화약을 분리해 폭발 지점에 보관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이 훈련용 폭음통은 올 여름에 이미 소진해야 했던 분량으로 알려졌다.

여러 진술을 종합하면 탄약관리 부사관이 방치한 화약 더미를 병사들이 모르고 밟아 폭발했다는 것.


군 관계자는 “사람 체중만으로 화약이 폭발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궁금증은 남아 있다”면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기관과 사고 원인을 다각도로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훈련용 폭음통은 길이 5㎝, 지름 1.5㎝ 크기에 7㎝ 짜리 도화선이 달린 교보재다. 불을 붙여 던지면 포탄이나 수류탄이 떨어지는 소음을 내 각종 군 훈련에서 쓰인다. 폭음통 1개에 든 화약은 소량이라 폭발력이 크지 않지만, 다량의 폭음통을 분리해 화약만 모아두면 상당한 폭발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군은 특히 A 부사관이 폭음통 등 훈련용 화약만 왜 폭발 지점에 따로 모아뒀는지 의도와 경위를 확인 중이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