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국표원 아이폰 결함 논란 조사 검토

소비자 안전문제와 관련됐다고 판단되면 조사예정

아이폰 꺼짐현상 잇따라...일부에선 발화 신고도

애플의 최신폰인 아이폰6s/사진=서울경제DB애플의 최신폰인 아이폰6s/사진=서울경제DB


애플의 아이폰 일부 제품에서 전원꺼짐 현상과 배터리 폭발 논란이 지속되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이 조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14일 “아이폰 문제가 소비자 안전에 관한 것인지 검토 중”이라며 “유심히 보고 있으며 애플코리아 측과도 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는 문제와 안전 문제는 조금 달라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처럼 안전 이슈가 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며 “상황에 따라 조사에 나설 수 있으나 현재로선 속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만약 국표원이 조사를 단행한 뒤 제품 결함이 확인되면 리콜 명령 등을 내릴 수 있다. 앞서 국표원은 갤노트7이 일부 제품에서 배터리 발화 결함을 일으켜 9월부터 자발적 전량 회수조치를 내리자 조사를 진행하고 사후 소비자 보호조치를 논의했다.

관련기사



아이폰 꺼짐 사례는 특히 중국 등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중국 소비자협회는 배터리 잔량이 30%정도인 상태에서도 아이폰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이 잇따르고 있다고 지난달 문제를 제기했다. 현재 문제가 되는 제품은 아이폰6 및 6플러스·6s플러스 등이다. 아이폰6시리즈 제품 일부에서 발화가 있었다는 소비자신고도 8건 있어 중국 상하이소비자위원회가 최근 공개했다.

애플은 문제의 발화사고가 외부 충격 등에 따른 것이었다고 해명하는가 하면 고위 임원을 소비자협회로 보내 공식사과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웹페이지에서 일부 아이폰6s 배터리 교체를 영문으로 올렸다가 나중에야 한글로 바꾸는 등 불성실하게 대응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