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새누리당 분당의 길 가나…비대위 구성 분수령될 듯

비박계, 비대위 구성까지는 탈당 보류할 듯

정우택 "비대위원장은 비주류 진영에서 맡는 것이 합리적"

새누리당 원내대표로 당선된 정우택 의원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손을 들고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새누리당 원내대표로 당선된 정우택 의원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손을 들고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16일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표에 친박계 정우택 의원이 당선되며 비박계의 탈당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21일 전후로 있을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비박계 주요 인사들은 정 의원의 신임 원내대표 당선 결과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박계 인사인 유승민 의원은 “상당히 실망스러운 결과”라며 탈당 가능성에 대해선 “나중에 답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이날 원내대표 경선에서 패배한 나경원 의원은 ‘향후 방안에 탈당도 고려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일단 논의해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다른 비박계 인사인 김무성 전 대표는 탈당과 신당 창당을 검토하고 있다고 이미 밝힌 상황이다.

관련기사



다만 아직 비박계 내부에서도 일단 지켜보자는 의견이 많은 만큼 분당 사태가 당장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대위까지 친박계로 구성될 경우 탈당 움직임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비대위원장 선출의 권한을 가진 당 전국위원회 구성원 중 압도적 다수를 친박계가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친박계가 비대위원장 선출 및 비대위원 구성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원내지도부와 당 지도부를 모두 장악한다면 비박계의 탈당이 급물살을 탈 것이란 분석이 유력하다.

이에 대해 정 신임 원내대표는 “비박계를 껴안는 것이 중요하다”며 “친박계에 대한 2선 후퇴를 요청하고 비대위원장은 비주류 중도 진영에서 추천하는 인사가 맡는 것이 당 화합을 위해 합리적이다”고 밝혔다.

/홍주환인턴기자 thehong@sedaily.com

홍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