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 당당한 태도의 우병우...시종일관 "아니다""그런적 없다"

<의혹 모두 부인한 우병우>

세월호 사태 수사 방해 등 의혹에도 일체 부인

노승일 "차은택 법률조력자, 우병우가 소개"

불성실한 태도에 "자세 똑바로하라" 지적 받기도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조사 5차 청문회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는 길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병우 구속수사하라’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호재기자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조사 5차 청문회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는 길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병우 구속수사하라’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호재기자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5차 청문회에서 관련 의혹을 모두 부인했다. 우 전 수석은 답변 과정에서 불성실한 답변 태도로 일관하다가 제지를 받기도 했다. 우 전 수석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거나 답변을 거부하며 “특검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시종일관 당당하게 응답했다.

앞서 열린 청문회 출석을 거부하다가 이날 끝내 모습을 드러낸 우 전 수석은 청문회장으로 올라가면서 최순실씨를 아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모른다”고 답했을 뿐 대부분의 질문에 침묵을 지켰다.


청문회장에서도 우 전 수석은 폭풍 질문공세 속에서도 당황한 기색 없이 “아니다” “모른다”는 답변을 이어갔다. 그는 ‘가족회사 정강의 자금 유용을 인정하느냐’는 정유섭 새누리당 의원 질문에 “인정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최순실을 언제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정윤회 문건 사태 때 이름을 들었지만 개인적으로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최순실씨가 청와대 ‘보안손님’으로 관저를 수시로 드나들었다는 의혹과 관련해 우 전 수석은 “관저에 그렇게 출입하는 것을 저는 몰랐다”고 말했다. 또 “안봉근 전 비서관이나 윤전추 이런 사람들이 그렇게 (최씨를 데리고 들어가고) 했는지는 모르겠고 만약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청와대 관저를 출입했다면 그건 경호실에서 담당할 일”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순실이 우병우 장모(김장자)에게 차은택을 잘 부탁한다고 했다’는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의 발언의 진위를 묻자 “차은택을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다만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은 “차은택의 법률 조력자가 김기동이며 김기동을 우병우가 소개했다고 들었다”며 상반된 주장을 내놓았다. 이에 손혜훈 민주당 의원은 “차은택이 우 전 수석이 자신의 뒤를 봐준다고 자랑하고 다녔다”며 강하게 추궁했다.

우 전 수석은 세월호 침몰 수사 방해 의혹에 대해서도 “그런 적 없다”고 밝혔다. ‘광주지검이 청와대와 해경 간 통신자료 확보를 위한 압수수색에 나섰는데 관련 서버를 압수수색하지 말라고 연락했다’는 의혹과 관련된 도종환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압수수색하지 말라고 전화한 적 없다”고 답했다. 또 롯데가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내고 압수수색 정보가 유출된 후 이를 반환한 것이 우 전 수석이 수사정보를 흘려준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롯데가) 70억인지 75억인지 받은지도 모른다. 돌려주는 것도 물론 모른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우 전 수석은 2014년 정윤회 문건 사건과 관련, 민정수석실에서 사망한 최모 경위를 회유하려고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회유를 지시한 바 없다”고 부인했다.

우 전 수석이 질의를 청취하는 과정에서 고개를 숙인 채 메모를 하거나 퉁명스러운 어조로 답변을 이어가자 결국 김성태 국조특위 위원장이 우 전 수석에게 ‘자세를 똑바로 하라’며 호통을 쳤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