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정 역사교과서 '운명의 한주'

내용·이미지 등 의견 수렴 마쳐…내주 현장도입 방법 발표

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한 의견수렴을 마치고 다음주 운명을 결정한다.

23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2일까지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총 2,741건의 의견이 제출됐다.

의견 중에는 내용 관련 의견이 1,519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탈자 관련 의견 63건, 이미지 관련 의견 28건, 비문 지적 10건 등이었다. 나머지 1,131건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찬반 의견으로 기타로 처리됐다. 교육부는 이날 자정까지 의견수렴과 검토를 거쳐 교과서에 반영할 부분은 반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의견수렴 내용을 검토한 뒤 다음주 학교 현장 도입 방법을 발표한다. 이준식 교육부 장관도 “의견수렴을 거쳐 교육현장에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내에 결정하겠다”고 수차례 밝혔다.

관련기사



의견수렴 기간이 끝난 현재 상황에서는 국정 역사교과서 반대 목소리가 더 높다. 실제 국정 역사교과서 찬반 의견수렴에서 60%가량이 박정희 독재 미화 등을 이유로 반대의견을 냈다. 또 대다수 시도 교육감들도 반대하고 있다. 시도교육감협의회는 이날 세종시 교육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사·학생·교육감이 받아들이지 않는 교과서는 학교에서 사용될 수 없다”며 국정 역사교과서 폐기를 주장했다.

이처럼 반대여론이 높아 국정교과서 도입시기를 늦춘 뒤 다시 결정하는 ‘1년 유예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다른 과목들처럼 오는 2018년부터 사용하도록 하고 당장 내년에는 기존 검정 교과서를 쓰는 방법이다. 교육부 장관 고시만으로 가능한 데다 교육현장 반발을 고려하면서도 완전폐기는 아니기 때문에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