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살처분만 2,600만마리”··‘통제불능’ 치닫는 AI

산란계는 전체 사육규모의 27%가 도살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를 중심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확산하면서 전체 살처분 가금류 마릿수가 2,600만마리를 넘어섰다. 농협중앙회 임직원들이 지난 24일 충남 천안 지역 피해농장을 방문해 살처분·매몰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농협중앙회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를 중심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확산하면서 전체 살처분 가금류 마릿수가 2,600만마리를 넘어섰다. 농협중앙회 임직원들이 지난 24일 충남 천안 지역 피해농장을 방문해 살처분·매몰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농협중앙회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를 중심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확산하면서 전체 살처분 가금류 마릿수가 2,600만마리를 넘어섰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0시 현재 AI 여파로 도살 처분됐거나 예정인 가금류 마릿수는 531농가, 2,613만마리에 달한다.

이 가운데 10마리 중 7마리 이상이 닭이다.


특히 알 낳는 닭인 산란계 농가의 피해가 심각하다. 국내 전체 산란계 사육 규모의 26.9%에 해당하는 1,879만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번식용 닭인 산란 종계의 경우 사육 규모 대비 44.6%인 37만8,000마리가 사라졌다. 번식용 닭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것은 산란계로 키울 병아리도 그만큼 줄게 돼 계란 부족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닭보다 사육 마릿수가 적고 영세한 농가가 대부분인 오리 농가도 타격이 심하다. 전체 사육오리의 24.1%에 해당하는 211만5,000마리가 도살됐다.

의심 신고가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들어오면서 AI 신고 건수는 114건으로 늘었고, 이 중 100건이 확진됐다.

확진을 포함해 예방적 도살처분 후 검사 과정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농가를 포함하면 260농가가 AI 양성판정을 받았다.

발생 지역도 8개 시·도, 32개 시·군에 이른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