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총공세 나선 특검…제3자 뇌물죄·인사 청탁 의혹 동시다발 수사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박영수 특별검사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자택과 집무실 등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특검이 동시 다발적인 압수수색·소환조사로 인사청탁, 제3자 뇌물수수 등의 수사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이른바 현 정권 실세들에 대한 강제 수사를 통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한가운데 서 있는 박근혜 대통령을 한층 압박하고 있다. ★관련기사 5·6·31면


특검팀은 김 전 비서실장 자택을 비롯해 문체부 내 ‘문화융성’ 정책 주요 부서인 기획조정실·예술정책국·콘텐츠정책국, 조 장관 집무실 등 10여곳을 26일 압수수색했다. 이날 압수수색 명단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문 이사장과 김진수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의 자택도 포함됐다. 특검은 이곳에 수사관 등을 보내 업무 기록, 각종 서류 등을 확보했다. 김 전 비서실장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에 대한 증거확보 차원에서, 문 이사장은 직권남용 혐의에 따라 압수수색에 나섰다는 게 특검 측의 설명이다. 또 특검은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영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이날 불러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당시 의사결정이 이뤄진 배경은 물론 보건복지부나 청와대 등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캐물었다.

관련기사



특검은 압수수색·소환조사를 통해 김 전 비서실장이 지난 2014년 당시 김희범 문체부 1차관에게 “실·국장 6명에게 사표를 받으라”고 지시하는 등 인사 전횡을 했는지 조사한다.

김 전 비서실장이 박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만큼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묵인이나 방조했는지 등 직무유기 혐의도 수사 대상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또 국민연금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표를 던지는 과정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도 밝혀 박 대통령을 둘러싼 ‘제3자 뇌물수수’ 혐의도 입증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특검은 조만간 문 이사장과 김 비서관 등도 특검 사무실로 불러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