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3D 프린팅·차세대 보안 투자 늘린다

정보통신전략委 '지능정보사회 대비 정책'

항공·車부품 3D 프린팅 추진

AI·생체·블록체인 보안 강화

지능형 선박 개발 등도 지원



자동차, 항공 등 주요 산업계에 3차원(3D) 프린팅기술이 적극 도입된다. 양자암호와 생체인증, 블록체인 등 차세대 보안기술에 대한 국내 투자가 가속화된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미래·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주요 정보통신정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자동차의 초경량 실린더 헤드, 항공기의 고효율 엔진 노즐과 같은 첨단부품을 다품종 소량 방식으로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공정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인공뼈를 비롯한 의료용 3D프린팅 기술수요를 늘리고, 철도 및 국방 등 공공분야에서도 3D프린팅을 활용하기로 했다.


‘국가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 추진계획’을 마련해 북한의 해킹 도발 등 사이버위협에도 대응하기로 했다. 특히 인공지능(AI)기술을 적용해 보안시스템이 스스로 사이버공격 패턴 등을 분석하고 학습해 스스로 방어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 데이터를 양자 암호화해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해커가 해독하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홍채인식과 지문인식 등을 활용해 자율자동차 및 사물인터넷 등의 보안성능을 높이고, 금융 및 상거래정보를 다수의 아용자들에게 분산, 저장시켜 해당 데이터의 조작을 어렵게 만드는 블록체인 보안 기술 지원도 확대된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 등으로 조선소 인프라를 지능화하고 지능형 선박을 개발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울산에 조선해양 ICT(정보통신기술)창의융합센터‘를 만들고 소프트웨어(SW) 개발 인력 등을 양성하기로 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