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경련 산하 한경硏도 '시련의 계절'

대기업들 전경련 탈퇴 이어지며

한경연에도 회비 안낼 가능성 커

전경련 '싱크탱크' 전환에 운명 달려



대기업들이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를 잇따라 선언하고 있는 가운데 전경련 산하조직인 한국경제연구원도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했다.

전경련에 회비를 내지 않겠다고 언급한 대기업들이 한경연에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10대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29일 “전경련에 회비를 내지 않을 것”이라며 “한경연 회비 납부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지금까지 납부했던 한경연 회비도 내지 않겠다는 의미다.

또 다른 그룹 관계자는 “통상 전경련에 회비를 납부한다는 것은 한경연을 포함하는 것”이라며 “기업 총수들이 전경련 회비를 납부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한경연 회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삼성과 LG·SK는 전경련을 탈퇴하고 회비도 납부하지 않겠다고 직간접적으로 밝힌 상태다. 다른 대기업들이 이 같은 행렬에 동참할 경우 전경련은 물론 한경원까지 존립이 위태로울 수 있다.


600여개 회원사들은 전경련에 연간 400억여원의 회비를 내고 있다. 이 중 삼성을 포함한 5대그룹이 절반가량을 부담한다.

관련기사



한경연은 회원사가 100개가량 된다. 10대그룹을 포함해 전경련 이사회 멤버들이 주요 회원이다. 이들 회원사는 연간 100억원을 한경연 회비로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연은 정규직 연구원이 50~60명가량이고 이 중 절반이 박사급이다. 회비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조직 축소는 물론 인적 구조조정에 나서야 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한경연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동요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전경련 탈퇴 의사를 밝히는 대기업이 늘어나지 않을까 초조해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결국 한경연 존립은 전경련 쇄신방안에 달려 있다. 내년 2월까지 쇄신방안을 마련하는 전경련이 미국 헤리티지 같은 싱크탱크로 전환할 경우 한경연을 흡수해 조직을 개편할 수 있다. 하지만 전경련이 재계 이익단체나 사회공헌조직으로 변신할 경우 한경연의 위상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

재계 관계자는 “주요 그룹이나 대기업들이 별도의 자체 연구소를 가진 것이 변수”라며 “결국 전경련 쇄신방안에 어떠한 내용이 담기느냐에 따라 한경연의 운명도 결정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지난 1981년 설립된 한경연은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회원사들이 내는 회비로 운영된다.

1963년 한국경제인연합회가 발족시킨 경제기술조사센터가 한경연의 모태다. 1981년 4월 한경연으로 정식 설립됐고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초대 회장을 맡았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