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작년 서울 아파트 가격 4.2%↑…10년래 두번째로 높아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4% 넘게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6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KB국민은행이 4일 발표한 2016년 12월 전국 주택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 자료를 보면 작년 서울 아파트 가격은 4.22% 상승했다. 이는 2006년 이후 2015년(5.56%)을 제외하고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서울에서는 마포구(5.90%), 송파구(5.69%), 서초구(5.56%), 강남구(5.29%), 양천구(5.05%) 등이 5%를 넘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적으로는 제주·서귀포 지역의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지난 2015년 7.88% 상승한 데 이어 작년에도 10.18%나 뛰었다.

부산의 해운대구(7.13%), 수영구(5.04%)도 전국 평균(1.50%)을 크게 웃도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2.89%), 5대 광역시(0.65%)도 상승했으나 나머지 기타지방(-0.67%)은 소폭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의 지난해 전세가격 상승률은 3.09%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상승률은 2015년 상승률 9.57%보다 6.48%포인트 낮은 수치다.

관련기사



지역별로는 서울(3.09%), 수도권(2.86%), 지방 5개광역시(0.94%), 기타지방(0.24%)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가 역시 서울 수도권에서 상대적인 강세를 보였다.

시·군·구 단위로 서울 마포구(6.67%), 서대문구(5.94%), 제주·서귀포(5.97%), 부산 해운대구(5.07%), 파주(4.98%) 등의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전달보다 0.1%포인트 하락한 73.2%로 조사됐다. 작년 6월 75.1%를 찍은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11·3 부동산대책과 가계부채 관련 대출규제, 미국발 금리 인상 우려 등이 나타나고, 겨울철 비수기, 전문가들의 부동산시장 하향전망 여론 등이 형성되면서 매수·매도자 모두 관망 심리가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