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트럼프, 도요타까지 정조준..."멕시코에 공장지으면 국경세 내야"

미 기업 이어 외국 기업까지 타깃...외교문제 비화 소지

도요타 “미 공장 이전 아냐.미국 내 고용은 유지” 주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기업뿐 아니라 외국 기업의 해외공장 건설 계획에까지 간섭하고 나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5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도요타 자동차가 멕시코 바자에 미국 수출용 코롤라 모델을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는데 절대 안 된다”면서 “미국에 공장을 지어라. 그렇지 않으면 막대한 국경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요타는 현재 멕시코 과나후아토 주에 신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도요타는 지난 2015년 4월 약 10억 달러(약 1조2,000억 원)를 투입해 2019년부터 연간 20만대를 생산하는 신공장 건설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기업이 아닌 외국 기업의 경영활동에까지 간섭하는 발언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



이는 자칫 통상 마찰을 넘어 미일 양국 간 외교 문제로도 비화할 소지가 있는 발언을 풀이된다. 또 국경세를 부가가치세와 같은 간접세로 제한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위반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에 대해 도요타는 일본 NHK 방송을 통해 “멕시코 공장은 미국에서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만드는 것”이라며 “현재 미국 내 생산 규모와 고용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도요타는 이어 “미국 내 10개 공장에 13만6,000명의 종업원이 있는 만큼 트럼프 정권과 협력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대선 기간 동안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해 온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승리 이후에는 미국의 대표적 자동차기업 포드의 켄터키 ‘링컨MKC’ 모델 조립라인과 에어컨 제조업체 캐리어의 인디애나 공장 멕시코 이전계획을 백지화시키는 등 미국 내 일자리 유지를 내세워 미국 기업들의 공장 해외이전을 저지해 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현재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한 기계부품 제조업체 렉스노드, 핵심 자동차기업 제너럴모터스(GM) 등 다른 미국 기업들에도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