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순실, 수년간 차명 유령회사 운영…대기업과 또다른 '뒷거래' 정황

특검 수사 범위 한층 넓어질듯

이재용 신병 처리 영향 줄수도

최순실 일가 특혜 지원으로 뇌물 공여 혐의를 받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3일 특검 조사를 받은 뒤 서울 대치동 특검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최순실 일가 특혜 지원으로 뇌물 공여 혐의를 받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3일 특검 조사를 받은 뒤 서울 대치동 특검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비선실세’ 최순실(61)씨가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 수년간 ‘차명 유령회사’를 앞세워 대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은 정황을 박영수 특별검사가 포착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최씨와 대기업 사이의 또 다른 부당 거래 증거가 특검에 포착된 셈이다. 미르·K스포츠재단 기부금 출연과 최씨 모녀 특혜 지원 외에 새로운 ‘뒷거래’가 드러나면서 법조계 안팎에서는 특검이 수사 범위를 한층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13일 사정 당국에 따르면 특검은 계좌추적 과정에서 삼성·한화 등 대기업들이 박원오(68) 전 대한승마협회 전무의 아내 김모(67)씨 명의의 페이퍼컴퍼니 P사에 돈을 보낸 내역을 확인했다. 특검은 이 돈이 P사에서 박 전 전무를 거쳐 최씨에게 전달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P사는 박 전 전무의 아내 김씨가 대표이사로 있는 회사다. 서비스컨설팅 회사로 등록돼 있지만 주소가 서울의 한 아파트 가정집으로 기재돼 있어 사실상 사업 내용이 없는 유령회사로 추정된다.


특검은 삼성은 물론 한화가 계열회사 한화갤러리아를 통해 P사에 돈을 보낸 내역을 확인하고 조사 중이다. 또 다른 대기업이 P사에 자금을 보낸 내역도 확보했다고 전해졌다.

관련기사



특히 최씨가 P사 외에 2~3개 차명 유령회사를 통해 대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알려지면서 특검이 수사를 전방위로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최씨와 대기업 사이의 또 다른 부당 거래가 포착되면서 삼성 등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특검 수사 보폭이 한층 넓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대기업들의 자금 지원 의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신병 처리에 영향을 줄지도 관심거리다. 구속영장 청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특검은 뇌물 공여와 더불어 위증도 혐의에 적시하는 방안을 내비쳤다. 특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사회적으로 중요한 인물이 위증하거나 주요 수사 대상자의 진술이 오락가락한다면 당연히 영장 청구 기준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대기업 관계자가 국민의 이목이 쏠린 비리 의혹 사건 수사에서 말을 바꾸거나 청문회에서 위증하는 게 구속영장을 청구할 사유가 된다는 일종의 경고 메시지로 풀이된다.

특검은 이르면 14일, 늦어도 15일께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담당 사장 등 그룹 수뇌부에 대한 사법 처리 방향도 일괄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