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이창용 IMF 아태담당국장 "한국, 복지 확대로 경제성장 꾀해야"

'韓·亞 경제적 도전' 세미나 참석

중장기 차원서 소비 진작 나설때

재정악화 우려에도 필요한 조치

서비스·금융 등 구조개혁도 절실



“한국의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복지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창용(사진)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은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코리아소사이어티가 ‘한국 및 아시아의 경제적 도전’을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복지정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재정이 악화할 수 있지만 이는 ‘건전한 재정적자’”라면서 “복지정책 확대는 소비를 늘려 경제를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가계부채 문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당장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준은 아니지만 금융 안정성을 해칠 수 있고 소비를 둔화시킬 수 있는 만큼 자칫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경고다. 이 국장은 한국 사회의 지속적인 구조개혁도 다시 촉구했다.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균형 있게 발전하도록 서비스 분야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 대학을 졸업한 후 실리콘밸리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개혁해야 한다”며 “실패한 기업에 재기할 기회를 주도록 금융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국장은 선진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 요인도 경계할 것을 당부했다. 선진국의 불안 요인이 신흥국의 자금 유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아시아 지역은 펀더멘털이 좋다면서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최근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을 2.8%에서 2.5%로 낮춘 것과 관련해 “시장의 컨센서스는 2.5%로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IMF는 지난해 10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3.0%로 발표했지만 최근 2%대로 낮췄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았다. IMF가 1년에 두 차례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하는 것을 고려하면 4월에 새로운 전망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