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이란·터키 "시리아 휴전 공동 감독기구 창설 합의"

시리아 평화회담 이틀째 회의서 공동성명 발표

반군은 "이란 간섭 용납 안해" 부정적 입장

러시아·이란·터키 등 3국이 시리아 휴전체제 감독을 위한 공동기구를 꾸리기로 24일(현지시간) 합의했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3국은 이날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시리아 평화회담 이틀째 회의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시리아 휴전의 완전한 이행을 감독, 보증하고 모든 도발을 방지하며 휴전의 모든 문제를 결정할 3각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시리아의 주권과 독립, 영토 통합성 원칙을 존중하며, 시리아 분쟁의 군사적 해결은 불가능하며 유엔 안보리 결의 2254호에 기초한 정치적 협상을 통해서만 사태 해결이 가능하다고 간주한다”면서 “시리아 내의 테러리즘과 공동 투쟁할 준비가 돼 있음을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3국은 또 시리아 반군이 다음 달 8일로 예정된 유엔 주도의 스위스 제네바 평화회담에 참석하려는 계획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시리아 정부와 반군 대표는 3국 공동성명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시리아 정부를 대표해 회담에 참석한 바샤르 자파리 유엔 주재 시리아 대사는 “아스타나 회담이 일정 기간 휴전을 공고화하는데 성공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핵심 반군 조직인 ‘제이쉬알이슬람’(이슬람군대) 대표 모하메드 알류쉬는 3국 공동성명에 의구심을 드러내며 반군은 별도의 휴전유지 방안을 제안했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특히 “시리아 정부를 지원하는 이란이 시리아의 미래에 간섭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23일부터 아스타나의 ‘릭소스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이틀 간 열린 시리아 평화회담에는 시리아 정부와 반군 대표, 회담을 중재한 러시아·이란·터키 대표, 스테판 데 미스투라 유엔 시리아 특사 등이 참석했다. 미국은 카자흐스탄 주재 대사가 참관인 자격으로 회담을 지켜봤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