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시, 전국 최초 민·관·군 '감염병협력위원회' 꾸렸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와 같은 감염병 위기에 대비해 주요 의료기관별로 전문 인력을 상시 확보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서울시는 시내 주요 민간 대형병원은 물론 시립병원과 군까지 참여하는 ‘감염병협력위원회’를 꾸려 감염병 공동 대처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이처럼 민·관·군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를 마련한 것은 서울시가 전국 최초다.


위원회에 참여하는 30개 기관은 의사회·병원협회·약사회·간호사회·대한감염학회 등 보건의료단체, 강북삼성병원·경희대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 등 시내 민간 대형병원 14곳, 서울의료원 등 시립병원 8곳, 수도방위사령부·서울소방재난본부·보건소다.

관련기사



참여 기관들은 감염병 등 재난 상황에 대비해 전문 의료인력을 확보하고, 유사시에는 서로 협력 지원해 신속하게 공동 대처한다.

시는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각종 행·재정적 지원을 맡는다. 서울시의사회는 감염병 대응 의료인력을 교육하고 매뉴얼을 보급한다. 위원회는 이날 업무협약을 맺고, 6일 첫 회의를 열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시는 “2015년 메르스 발생 당시 특정 기관에 환자가 몰려 의료진의 피로도가 집중됐던 문제가 있었다”며 “이를 해소하고자 위원회 소속 기관별로 전문 의료인력을 상시 확보하는 방식으로 신속한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취지를 밝혔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