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포켓몬 잡으려다 개인정보 털릴라

게임 진행 보조 앱 수십개 달해

불법 정보수집·유통 범죄 우려



증강현실(AR) 게임 ‘포켓몬고’가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개인정보 유출, 악성코드 유포 등 사이버 범죄 우려도 커지고 있다.

7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포켓몬고 한국 서비스가 시작된 후 게임정보 공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조작 등 게임 진행을 도와주는 ‘보조 애플리케이션’도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이들 앱 가운데 불필요하게 많은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례가 있어 불법유통 등으로 악용될 우려가 있다고 경찰은 전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포켓몬고’를 검색하면 한국어 앱 44개가 확인된다. 이들 앱이 요구하는 권한은 평균 10개, 많게는 34개에 이르며 10개 이상의 권한을 요구하는 앱이 19개(43.2%)였다. 경찰 관계자는 “해당 앱의 목적·기능과 관계없이 수집된 개인정보는 불법유통 등으로 악용될 수 있으니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할 때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포켓몬고 열풍을 틈탄 악성코드 유포 및 사기, 해킹 등도 우려된다.

경찰에 따르면 포켓몬고를 PC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 별도 조작 없이 포켓몬을 자동으로 사냥해주는 ‘오토봇’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구글 계정 암호를 평문으로 수집하는 기능이 발견됐다. 지난해에는 포켓몬고 설치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국내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일부 포털 사이트에는 포켓몬고 계정이나 희귀한 포켓몬 등을 판매한다는 글들이 많은데 경찰은 이런 게시물이 사기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