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속물 변호사 연기 제대로 그리고 싶었죠"

영화 '재심'서 변호사역 정우

약촌 오거리 살인사건 실화 바탕

억울하게 누명 쓴 현우 사건 맡아

조작 근거 찾아가는 휴먼 드라마

준영의 심리변화 관객도 느꼈으면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2013·이하 응사)’에서 겉으로는 무뚝뚝하지만 속 정 깊은 쓰레기 역으로 커다란 사랑을 받았던 배우 정우(36·사진)가 ‘익산 약촌 오거리 살인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 ‘재심’(15일 개봉)에서 연기변신을 시도한다.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쓴 조현우(강하늘)의 재심을 맡는 변호사 이준영 역을 맡은 정우를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영화에서 변호사 준영은 속물근성이 다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우의 사건이 조작됐다는 근거들을 찾아내고, 현우가 무죄라는 심증을 굳히면서 둘 사이에는 형성되는 믿음 관계를 정우는 휴먼 스토리로 연기해 냈다. “현우가 무죄라는 걸 처음부터 알지만 이것을 교란하는 에피소드들이 발생할 때마다 현우를 의심해요. 한 번에 믿음이 생기지는 않죠. 그런데 믿음이 쌓여가면서 사람을 믿게 되는 거고, ‘재심’은 한 인물을 이해하고 믿는 과정을 그린 휴먼 드라마라고 생각해요.”


영화는 산발적으로 흩어진 실제 일어난 사건들을 재구성해 완벽한 기승전결 구조를 가진 탄탄한 작품으로 재탄생됐다. “로펌 대표(이경영)에게 의뢰인에게 전 재산을 받아본 적 있냐고 묻고는, 자신은 받아본 적이 있다면서 현우에게 받은 17만 3,000원이 든 봉투를 내보이는 장면은 시나리오 상에서도 멋스러운 대사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조금 ‘오글거리지’ 않을까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 영화 보신 분들이 좋게 봐 주시더라고요.”

관련기사



속물 변호사 준영의 심리변화는 약자인 현우에 대한 관객 나아가 사회적 시선의 변화이기도 하다. 준영의 느낌대로 관객이 그대로 따라갈 수 있었던 데는 정우의 연기력이 결정적이었다. “촬영하면서 “한 번 더, 한 번 더 해보겠습니다”라는 말을 많이 했어요. 정말 욕심이 나는 캐릭터였거든요.“

‘재심’은 ‘설마 이런 일이 정말 벌어질 수 있는가’라는 의심이 들 정도로 기구한 사건인 ‘약촌 오거리 살인 사건’을 모티브로 한 까닭에 기획 단계부터 주목받았으며, 크라우드 펀딩(1억3,000만원) 조성에 성공한 다섯번째 영화다. 이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160만명 가량이며, 이를 넘기면 투자자들은 수익을 낼 수 있다. 사진제공=오퍼스픽쳐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