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태극기 사라진 3·1절 행사

'태극기 집회'로 오해받을까…지자체 사용 꺼려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부산 동구청 앞 도로에서 시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일신여학교 만세운동 재현행사를 하고 있다. 부산·경남지역 3·1 운동 효시가 된 부산 일신여학교 만세운동을 재현하는 행사에는 2천여 명이 참여했다./연합뉴스3·1절을 하루 앞둔 28일 부산 동구청 앞 도로에서 시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일신여학교 만세운동 재현행사를 하고 있다. 부산·경남지역 3·1 운동 효시가 된 부산 일신여학교 만세운동을 재현하는 행사에는 2천여 명이 참여했다./연합뉴스


3·1절을 앞두고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태극기 사용 문제로 고민에 잠겼다. 자칫 태극기를 사용했다간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하는 보수단체의 ‘태극기 집회’로 오인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광주광역시는 내달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제98주년 3·1절 기념식을 진행한다. 이어 옛 전남도청 앞에서 타종식을 한 뒤 태극기를 흔들며 민요 ‘아리랑’을 부를 계획이었다. 하지만 광주시는 ‘태극기 집회’로 오해받을 수도 있다며 참석자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지 않기로 했다.


충남 천안시도 이달 25일 신부문화공원에서 ‘만세 플래시몹’을 진행했지만 태극기는 없었다. 참석자들은 태극기 대신 카드섹션으로 태극기를 형상화했다.

주말마다 태극기를 들고 집회를 여는 보수단체가 많은 상황에서 행사에 태극기가 등장할 경우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태극기 달기 운동에 적극적인 서울시 강남구 등 서울의 일부 자치구도 태극기 관련 민원으로 곤란을 겪었다.

관련기사



일부 주민이 ‘구청이 나서서 태극기 운동을 하는 이유’를 묻거나 태극기 게양을 독려하는 방송 등에 시끄럽다며 민원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전국에 내걸리는 3·1절 기념 태극기들이 정치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광복회는 최근 정치 집회에서 태극기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광복회는 27일 입장자료를 내고 “3·1절을 맞아 국민 스스로 대한민국의 상징이자 3·1 독립운동의 상징인 태극기에 대해 엄숙한 마음으로 존엄성을 갖기를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홍주환 인턴기자 thehong@sedaily.com

홍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