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행복도시 중심의 충청권, 40분대로 가까워진다

충청권 광역교통협의회 개최, 광역 대중교통 비전 제시

대전, 세종, 충북, 충남 4개 광역권 가운데에 있는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한 반경 40㎞의 광역도시권이 인구 500만명, 40분대 대중교통망으로 연결되는 국토 중심핵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7일 충북 증평에서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 충남도, 청주시, 공주시 등 6개 지방자치단체와 행복청 등이 모여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협의회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협의회서는 우선 한국교통연구원이 연구중인 행복도시권 광역 비알티(BRT)의 국제적 수준 향상 방안을 발제했다.

향후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반경 40㎞ 이내에 충청권 인구 500만 규모의 대도시(메가시티)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행복도시로부터 20㎞ 이내 6개 주요 거점(조치원, 오송역, 청주?공주터미널, 대전 도시철도 반석역,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까지 20분내, 40㎞ 이내 확대 거점(청주공항, 천안아산·대전·공주역)까지 40분내 광역대중교통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협의회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해 ▦주요 환승거점 개발과 광역 비알티(BRT) 직결망 연결 ▦대량 수송이 가능한 고급 대중교통수단 도입 ▦대중교통 통합환승요금체계 도입 ▦4개 광역 지자체를 아우르는 광역교통 통합행정기구 설치 등 4대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각 자치단체별 논의 사항으로는 충청권의 광역 대중교통 거점인 청주공항, KTX오송·공주역과의 연계를 강화하자는 내용이 제시됐다.

관련기사



대전시는 광역 환승 거점으로서의 기능 강화를 위해 대전역 환승센터를 구축하고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제안했다. 세종시는 광역권 핵심 대중교통수단인 비알티(BRT)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도시교통공사를 설립하고 국내 최초로 비알티(BRT) 공영 운영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주시는 KTX공주역∼정부청사간 비알티(BRT) 노선 신설 방안 필요성을, 충북도에서는 KTX오송역∼청주공항 간 광역도로 신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청주시는 오송역 버스 승하차 위치가 서로 달라 발생하는 불편 해소를 위해 서광장에 버스 환승센터를 구축해 역사에서 나오자마자 버스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서로 협력키로 했다.

행복도시권 광역교통은 2013년 청주 오송역∼행복도시∼대전 반석역 3개 광역권을 연결하는 990번 비알티(BRT) 노선을 신설한 후 2016년 말 누적 이용객이 천만 명을 돌파했고 2016년 7월 청주 오송역∼행복도시∼대전역을 연결하는 1001번도 노선 추가 이후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여 불과 7개월 만에 3대를 증차했다.

비알티(BRT) 외에도 세종 조치원~행복도시∼대전 반석역을 연결하는 1000번을 2016년 7월 투입해 최근 운행 횟수를 104회에서 150회로 30% 이상 증회했고 앞으로도 광역노선 수요가 급격히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세종=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