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간판 바꾼 전경련, 正道 시험대에 서다

명칭변경 등 혁신안 발표

24일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대국민 사과와 혁신안 발표회에 참석한 허창수 회장과 권태신 부회장이 고개숙여 인사를 하고 있다./이호재기자.24일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대국민 사과와 혁신안 발표회에 참석한 허창수 회장과 권태신 부회장이 고개숙여 인사를 하고 있다./이호재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50년간 사용해온 ‘전국경제인연합회’ 간판을 버리고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로 명칭을 바꾼다. ‘경제인(회장)’이 아닌 ‘기업’ 중심의 경제단체로 거듭나겠다는 취지다. 이에 따라 주요 의사결정기구였던 회장단회의가 폐지되고 전문경영인이 참여하는 ‘경영이사회’가 의사결정의 키를 쥔다. 조직과 예산은 40% 이상 감축한다.

관련기사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이 같은 내용의 혁신안을 2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발표했다. 허 회장은 “불미스러운 일로 국민께 큰 실망을 안겼다”며 “전경련이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고 정치와 연계될 수 있는 것을 원천차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회장단회의를 없애 대기업 오너 중심이 아니냐는 오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혁신안은 △정경유착 근절 △투명성 확보 △싱크탱크 기능 강화 등 세 가지로 요약된다. 이를 위해 정경유착의 고리라는 지적을 받았던 사회본부 및 사회협력회계를 폐지하고 활동내역과 재무현황 등을 홈페이지에 연 2회 공개한다. 또 정부의 부당한 요청에 따른 협찬과 모금활동에 일절 관여하지 않기로 했다. 20여명의 전문경영인이 참여할 경영이사회 산하에는 경제정책위원회 등 분과별 위원회를 둬 경영이사회조차 독단적 결정을 할 수 없게 했다. 경제·산업본부의 정책연구 기능은 한국경제연구원으로 이관해 한경연의 기능을 강화한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